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술 전 교정치료 전과 후의 수술계획의 차이
The differences of STO between before and after presurgical orthodontics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s
- 대한치과교정학회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제38권 제3호
-
2008.06175 - 186 (12 pages)
- 29
본 연구는 술 전 교정치료 전 치아 이동 예측치(initial STO)와 술 전 교정치료 후 실측치에 바탕을 둔 STO (final STO)를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부산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하여 교정 및 악교정수술 복합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중 하악만 수술한 환자 40명을 선정하여 상악 제1소구치 발치 여부에 따라 두 그룹(발치 그룹 20명, 비발치 그룹 20명)으로 분류하였다. 술 전 교정치료 전의 initial STO, 술 전 교정치료 후의 final STO를 작성하여 각 계측치를 수평, 수직 기준선에 대해 거리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발치 그룹의 두 STO 비교 시 수직적으로 상악 중절치 절단연과 치근단, 상악 제1대구치 협측교두에서, 수평적으로 상악 중절치 절단연, 상악 제1대구치 근심협측교두, 하악 중절치 치근단, 하악 제1대구치 근심면과 근심협측교두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비발치 그룹의 경우는 수직적으로 하악 중절치 치근단, 수평적으로 상악 중절치 절단연, 하악 중절치 절단연과 치근단, 하악 제1대구치 근심면에서 차이 를 보였다. 두 STO의 차이와 initial STO 수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진단 요소와의 상관성 평가 시 상악 치열궁 공간 부족량이 상악 전치의 수평, 수직 및 제1대구치의 수평 위치 예측에 유의한 상관성을 가졌으며 두 그룹 모두 하악 전치 치축 각도와 하악 치열궁 공간 부족량이 하악 전치의 수평 위치 예측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Initial STO 작성과 술 전 교정 단계에서 이를 고려하여 진행한다면 좀 더 효율적인 치료 계획 수립 및 전체적인 치료 기간을 줄이는 것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discrepancies between initial STO and final STO in Class III malocclusions and to find which factors are related to the discrepancies.<br> Methods: Twenty patients were selected for the extraction group and 20 patients for the non-extraction group. They were diagnosed as skeletal Class III and received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and mandibular set-back surgery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lateral cephalograms were analyzed for initial STO (T1s) at pretreatment and final STO (T2s) after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and specified the landmarks as coordinates of the X and Y axes.<br> Results: Differences in hard tissue points (T1s-T2s) in the X coordinates of upper central incisor edge, upper first molar mesial end surface, lower central incisor apex, lower first molar mesial end surface and mesio-buccal cusp and Y coordinates of upper central incisor edge, upper central incisor apex, upper first molar mesio-buccal cus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extraction group. Differences in hard tissue points (T1s-T2s) in the X coordinates of upper central incisor edge, lower central incisor apex, lower first molar mesial end surface and Y coordinates of lower central incisor apex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non-extraction group. In the extraction group, the upper arch length discrepancy (UALD)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axillary incisor and first molar estimation. Lower arch length discrepancy and IMPA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mandibular incisor estimation in both groups.<br> Conclusions: Discrepancies between initial STO and final STO and factors contributing to the accuracy of initial STO must be considered in treatment planning of Class III surgical patient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prediction.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