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교합과 교정치료가 청소년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locclusion and orthodontic treatment on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 정민호(Min-Ho Jung)
- 대한치과교정학회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제37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7.02
- 56 - 64 (9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기의 청소년들에 있어 가장 흔한 부정교합의 하나인 전치부의 치아배열과 돌출, 그리고 교정치료 여부가 자존감(self-esteem)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 강남구와 서초구에 위치한 중학교 다섯개 교의 여학생 2944명을 대상으로 구강검진을 실시하여 상악전치부의 치아배열과 입술의 돌출도를 평가하고 치아배열이 고르지 못한 밀생군, 입술이 돌출된 돌출군, 치아배열과 측모가 이상적인 정상군을 분류하고, 교정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Rosenberg의 자존감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자존감을 평가한 후 각 군간의 자존감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조사결과, 입술의 돌출을 가진 청소년들은 자존감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던 반면 상악 전치부의 밀생을 가진 청소년들의 자존감은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고정식 교정장치 치료나 가철식 교정장치 치료를 받는 청소년들은 치료받지 않은 학생들과 자존감의 차이가 없었으나 고정식 교정치료가 끝난 청소년들은 유의하게 자존감이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전치부 치아배열과 교정치료가 청소년기 여학생의 자존감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alocclusion and orthodontic treatment on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br> Methods: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3509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Each subject was evaluated with Rosenberg’s Self-esteem Scale to measure the level of self-esteem and also evaluated the degree of crowding and soft tissue profile.<br> Results: Results showed that protrusion of lip area had no effects on self-esteem but crowding of upper anterior teeth had significant effects. The fixed orthodontic treatment group and the removable orthodontic treatment group repor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from the no orthodontic treatment experience group, but the debonding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elf-esteem index.<br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nterior teeth alignment has influence on the self-esteem of female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