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Ⅲ급 부정교합자의 양악 수술과 하악 편악 수술 시 연조직 변화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oft tissue changes with mandibular one jaw surgery and double jaw surgery in Class Ⅲ malocclusion

  • 19

악교정 수술 시행 시 연조직 변화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Ⅱ급 부정교합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수술 방법에 따른 연조직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에서 상악골 전진술과 하악골 후퇴술을 동시에 시행한 양악 수술과 하악골 편악 수술 시행 시, 경조직과 연조직 측모 및 연조직 두께의 변화를 관찰하고, 수술 전후 변화의 상관성을 산출하며, 경조직 변화에 수반하는 연조직 변화의 비율을 산출하여 교정-악교정 수술 복합 치료 계획 수립과 결과의 예측에 이용하고자 시행되었다.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로 진단받은 환자 52명을 대상으로 하여, Le Fort I osteotomy를 이용한 상악골 전방이동술과 시상분할골절단술을 이용한 하악골 후퇴술을 시행한 양악 수술군 26명과 하악골 후퇴술만을 시행한 편악 수술군 26명으로 구분하여, 수술 전후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계측,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양악 수술군은 골격 변화량의 72.4% 비율로 상순 부위 연조직의 전방 이동을 보였으며, 편악 수술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비순각은 양악 수술군에서 편약 수술군에 비해 더 크게 증가하였다. 이순각은 편악수술군에서 더 크게 감소하였다. 하악골의 후방 이동에 따른 연조직 pogonion의 후방 이동은 양악 수술군에서 98%, 편악 수술군에서 109%로 편악 수술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양악 수술군에서는 편악 수술군에 비하여 경조직의 변화에 수반하는 상순에서의 큰 변화가 나타났다. 편악 수술군에서는 상순의 변화는 미약하엿으며, 하순 및 이부의 변화가 양악 수술군에 비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Numbers of postulations lie on the difference of integumental changes with two major surgical remedies of one jaw vs. two jaw surgery in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Accordingly it was the aim of the study to elucidate the skeletal profile changes with an accompanying disposition of soft tissues, consequently to yield the correlation and ratio of soft tissue changes with two types of surgical procedures, which in turn make it possible to predict the soft tissue outcomes by means of assembled regression equations. Cephalometric headfilms of fifry two adult skeletal Class Ⅲ comprised of 26 maxillary advancement by Le Fort I osteotomy and mandibular setback by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simultaneously (double jaw surgery, group A), 26 mandibular setback alone (one jaw surgery, group B) were statistically analyzed. Group A manifested 72.4% soft tissue advancement to skeletal changes in the upper lip area, while group B appeared to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The nasolabial angle showed more increment in group A than in group B, whereas the mentolabial angle illustrated more reduction in group B. The backward movement of soft tissue pogonion to skeletal change revealed 98% in group A, and 109% in group B. The double jaw surgery group characteristically revealed remarkable integ umental change in the upper lip area, while the one jaw surgery had major effects in the lower lip and soft tissue pogonion area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