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결찰브라켓을 이용한 교정 치료의 임상적 고려사항
Clinical considerations with self-ligating brackets
- 김훈(Hoon Kim) 김광유(Kwang-Yoo Kim) 강윤구(Yoon-Koo Kang) 김성훈(Seong-Hun Kim) 국윤아(Yoon-Ah Kook)
- 대한치과교정학회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제36권 제6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6.12
- 474 - 482 (9 pages)
자가 결찰 브라켓은 결찰용 와이어나 고무링 대신 특별한 hinge를 이용하기 때문에, 결찰 시 발생하는 마찰력의 감소로 효율적인 치아이동이 가능하여 전체 치료기간의 단축 효과가 있다. 이런 장점으로 최근 자가 결찰 브라켓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자가 결찰 브라켓만의 장점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서는 장치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몇 가지 임상적 고려사항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Self-ligating brackets have a permanently installed movable component to entrap the archwire which reduces much of the friction created by conventional ligation. Therefore, it allows for rapid tooth movement and shorter overall treatment time. Due to these advantages, interest in self-ligating brackets is increasing. In this report, several practical considerations for using self-ligating brackets are given to appreciate and maximize their benefits. It is thought that self-ligating brackets make shorter and more efficient treatment po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