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교합의 객관적 정량분석
The objec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malocclusion: Part 1. Objective malocclusion severity and subjective treatment difficulty
- 대한치과교정학회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제35권 제1호
-
2005.0260 - 68 (9 pages)
- 18
부정교합의 평가는 질적, 양적인 면에서 모두 평가되어야 한다. 이는 부정교합의 경중도의 평가뿐만 아니라 이의 치료가 얼마나 어려운가를 반영할 수 있는 치료의 난이도로 발전되어야 한다. 이러한 부정교합의 경중도와 치료의 난이도를 객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는 치과 교정학에서 치료의 효과 및 효율의 평가에서 치료난이도를 반영하는 부정교합 경중도 측정을 가능하게 하여 교정치료의 양적 그리고 질적 평가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부정교합의 객관적 정량분석을 위한 연구로써 객관적 부정교합의 경중도와 주관적 치료 난이도를 측정하고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00쌍의 교정용 치아모형을 이용하여 경험있는 8명의 치과교정의가 주관적인 치료의 난이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치료의 어려움과 예상치료기간을 추정하였으며 객관적인 부정교합의 경중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저자는 동료평가등급 지수 (PAR index) 를 사용하여 각 부정교합의 구성요소 별 경중도를 계측하였다. 이들간의 상관관계의 조사에서 객관적으로 계측한 부정교합의 경중도와 평가단의 치료 예상난이도 사이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특히 상악 전치부 배열, 구치부교합, 수평피개도, 수직피개도, 그리고 정중선 일치도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객관적으로 계측된 부정교합의 경중도가 치과 교정의사가 느끼는 주관적 치료 난이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수 있으며. 이는 치료의 주관적 난이도를 내포하는 새로운 국내형 교합지수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evaluation of malocclusion has to be don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is will be lead toward an analysis of malocclusion severity as well as treatment difficulty, The method of proper evaluation of malocclusion severity and treatment difficulty is necessary to assess treatment effect and efficiency for the orthodontists and to establish fundamentals for planning and executing the health-related policies in private and public institution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s the first part of the objec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malocclusion were 1) to measure treatment difficulty based on the opinions of several orthodontists, and 2)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objective malocclusion severity and subjective treatment difficulty. 100 pairs of dental casts that had various types and severity of malocclusion were selected from the orthodontic departments of Kyunghee University and Samsung Medical Center. The objective malocclusion severity was measured with the PAR (Peer Assessment Rating) index and the subjective treatment difficulty was evaluated by 8 experienced orthodontists. The relationships between objective malocclusion severity and subjective treatment difficulty were statistically evaluate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objective malocclusion severity and subjective treatment difficulty, especially in the measurements of the upper anterior alignment, the buccal occlusion, the overjet, the overbite and the midline discrepancy inthe malocclusion compon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the background knowledge to develop a new occlusal index, which contains both the malocclusion severity and treatment difficulty for Korean orthodontist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