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상악 제2대구치를 발거하고 치료한 성장기Ⅱ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전 특성

Pretreatment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Class II malocclusion treated by maxillary second molar extraction

  • 10

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기 Ⅱ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상악 제2대구치를 발거하고 치료한 증례와 비발거로 치료한증례 중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얻은 증례들을 후향적으로 관찰하여 두 군 간의 치료 전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 상에서 골격성, 치성, 연조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Ⅱ급 구치 및 견치관계를 보이고 7 mm 이하의 수평피개, 중등도 이하의 총생을 갖는 51명의 환자를 18명의 상악 제2대구치 발거 치료군화 53명의 비발거 치료군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두 군 간의 비교는 t-검정법으로 시행하였고 판분석을 통해 두 군을 판별해 주는 주요 항목들을 알아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골격성 특성 중, 전후방적인 계측 항목에서는 유회성 있는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없었으며 AB-MP (°). Na-Me (mm), AVD (anterior vertical dimension, mm) 와 같은 수직적 계측항목에서만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p〈 0.05). 치성 특성 중에서는 상하악 제1대구치의 위치 및 경사도와 관련된 항목 윗 상악 제3대구치의 경사도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발거군에서 상악 제1대구치의교합평면 및 FH 평면에 대한 근심경사도가 더 컸다. 두 군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는 계측 항목들(U8-FH(°)는 제외)을 이용하여 발거군과 상악 제3대구제가 양호했던 비발거 증례군에 대해 증감 판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양군을 판별하는데 기여도가 높은 항목은 U6-VRL (mm), AB-MP (°) 으로 나타났다. 이 두 항목으로 이루어진 판별식을 도출한 바 본 연구에 이용된 발거군과 비발거군 증례들의 78.4%를 정확히 분류해 낼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 사용된 모든 계측 항목들(U8-FH (°) 는 제외)을 이용하여 발거군과 비발거군에 대해 증감 판별분석을 시행한 결과 U6-VRL (mm), AB-MP (°), 그리고 U7-FH (°) 가 양 군을 분별하는데 유의성이 있었고 이 세 항목들을 이용한 판별식을 통해서 89.2%를 정확히 분류해 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stimate the pretreatment characteristics of growing patients with Class II malocclusion, who had been treated with maxillary second molar extractions. The sample comprised of 51 subjects: 18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e molar extraction group, and 33 subjects were treated without extraction and classified into the nonextraction group. Pretreatment lateral cephalograms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and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In measurements for skeletal pattern, no anteroposterior measurements and proportions of various vertical dimens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nd only some measurements such as AB-MP (°), Na-Me (mm), AVD (m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treatment groups (p ( 0.05). In measurements for dentoalveolar pattern, some measurements, which were related to the position and angulation of the upper and lower permanent first molars, and the angulation of the upper third mola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treatment groups. In particular, the maxillary second molar extraction group exhibited more mesial angulation of maxillary first molar to the occlusal plan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