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상악확장술 치료화과의 메타 분석

견치간 폭경과 대구치간 폭경 확장의 비교 및 급속과 완속 확장의 비교

  • 8

본 연구의 목적은 다수의 연구들로 부터 추출한 각각의 결과를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병합, 개관하는 통계 분석법인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상악확장술에서의 견치간 폭경과 대구치간 폭경의 확장 및 급속과 완속 확장에서의 확장량과 재발량을 비교하는 것이었다. 메드라인 검색을 통해 1979년부터 2000년까지의 문헌들 중 사람을 대상으로 상악확장술의 효과에 관해 조사한 문헌 388개를 찾은 후 논문 선택 및 제외 범주에 따라 최종적으로 7개의 문헌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확장술에 의한 상악 제 1대구치간의 폭경은 평균 6.0mm의 확장되었으며, 보정 후 측정에서 평균 4.8mm가 유지되어 평균 20.0%(1.2mm)의 재발경향을 보였다. 2. 상악 견치간 폭경은 제 1대구치간 폭경의 확장보다 2.3mm 적은 평균 3.7mm 확장되었으며, 보정 후 측정에서 평균 2.6mm가 유지되어 평균 29.7%(1.1mm)의 재발경향을 보였다. 3. 급속 상악확장술과 완속 상악확장술의 치료효과의 차이는 확장량과 보정 후 재발량 및 유지량에서 6% 미만(0.1-0.3mm)이었다. 그러나 상악 견치간 및 제1대구치간 폭경 변화에 있어서 두 방법 간에 골격성 및 치성 확장량의 비율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As a research method that ;weighs and.combines evidence, meta analysis produces evidence that is more powerful than the original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intercanineintermolar expansion and rapid/slow expansion in the maxillary expansion treatment using meta analysis. Medline was searched from 1979 to 2000 for all studies examining the stability of transverse expansion of the human maxilla, and 388 articles were found. Then these articles were reduced to 7 based on the defined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nd a cumulative Meta evaluation score was computed for each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expansion in intermolar width was 6.0mm Of the 6.0mm, 4.8mm was retained and 20.0%(1.2mm) was relapsed while wearing retainers. 2. In intercanines width, the mean expansion was 3.7mm. Of the 3.7mm, 2.6mm was retained and 29.7%(1.Imm) was relapsed while wearing retainers. 3. The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expansion and relapse between rapid expansion group and slow expansion group were less than 6%(0.1-0.3mm). But, there might be differences in the skeletal/dental exapnsion ratios according to the expansion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