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성장기 골격성 Ⅲ급 부정 교합 환자의 치료 전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에서 얻을 수 있는 골격성, 치성 분석을 통하여 안정군과 재발군을 구별하여 주는 요소를 찾아 보아 Ⅲ급 부정 교합의 치료시 안정성을 고려한 치료 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고정식 교정 장치를 통한 전치부 반대 교합 혹은 절단 교합의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 치료 후 최소 1년 동안 안정된 결과를 보인 안정군 33명과 관찰 기간 동안 절단 교합 이하의 수평 피개를 보인 재발군 2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비교하였으며, t-test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후방적 골격 형태보다는 수직적 형태, 특히 AB-maxillo-mandibular triangle내의 수직적 형태가 Ⅲ급 부정 교합 치료의 예후에 주요한 결정 인자로 나타났다. 수직 각도 계측 항목에 의한 안정군과 재발군간의 비교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인 항목은 AB-MP, ODI로 나타났다(P<0.01). 수직 비율 계측 항목에서도 MP-P/AL, PP-P/AL항목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2. 재발의 경향은 교합 평면 특히, 하악 교합 평면이 전하방으로 급경사를 이룰수록 증가했다. 교합 평면 경사도와 관련된 계측 항목에 의한 안정군과 재발군간의 비교에서 OP(L)-PP, OP-PP, AB-PP(L), Wits appraisal 항목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연구는 전후방 부조화가 아닌 골격성, 치성 수직 부조화가 재발을 예측하는 적절한 기준이 됨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relapse in orthodontic treatment of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in growing patients. A total of 55 patients were studied and all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stability in the post-treatment stage. Of the sample, 33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able group and the remaining 22 were assigned to the relapse group. Cephalometric data of the pre-treatment stage was taken and compared between the stable and relapse group.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t-test: 1. This study presented statistical evidence to show that the major skeletal determinant of prognosis in Class Ⅲ orthodontic treatment was not anteroposterior discrepancy but vertical discrepancy, especially within the AB-maxillo-mandibular triangle. Vertical angular measurements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B-NIP and ODI(P<0.01) and the vertical ratio measurements were NIP-P/AL and PP-P/AL(P<0.05). 2. Relapse tendency increased with the steep occlusal plane, especially the steep lower occlusal plane. As to occlusal plan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P(L)-PP, OP-PP, AB-OP(L) and Wits appraisal(P<0.05). This study claimed that anteroposterior discrepancy was not necessarily the proper criteria to predict relapse. Vertical discrepa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ost-treatment s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