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두개안모 성장예측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craniofacial growth prediction method on Class Ⅲ malocclusion patients
- 손우성(Woo-Sung Son) 강은희(Eun-Hee Kang) 정미라(Mi-Ra Jung) 성지현(Ji-Hyun Sung)
- 대한치과교정학회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제33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3.02
- 31 - 39 (9 pages)
본 연구는 성장에 의한 변화를 예측하는 현재의 방법이 실제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진단과 치료계획에 적절히 사용될 수 있는지를 판단해 보기 위해 초진 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성장 종료 후 악교정 수술을 받기위해 재내원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25명(남자 13명, 여자 12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초진시 채득된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에서 Ricketts의 성장예측법을 통해 성장 종료 후의 상태를 예측한 후, 악교정 수술을 위해 재내원 했을 때 채득된 측모 두부방사서 ㄴ사진에서 계측된 실제 성장량과 비교분석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예측치와 관측치의 일치정도를 평가해본 결과 Potion Location, Ramus Position, Facial Depth, Facial Axis, Mandibular Plane angle, Maxillary Convexity에서의 예측치가 관측치와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 항목에 대한 Ricketts 성장예측법의 예측치가 실제 성장량을 잘 설명해주지 못함이 관찰되었다. 2. 하악골체의 성장량은 정상 성장량과 유하하였으나 Porion Location, Ramus Position이 정상적인 성장과정을 벗어나면서 하악골의 전방위치를 유도하였다. 3.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는 성장의 양과 방향이 비정상적인 성장변화를 나타내어 정상 성장에서라면 변화를 보이지 않을 하악지의 전방 위치, ㅏ악이부의 전상방 회전 등이 일어나 하악 전돌의 경향이 악화될 수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whether growth prediction method can be used to diagnose and make treatment plan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or not The sample was consisted of 25 patients(13 males, 12 female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t first visit and after that had returned to take orthognathic surgery. Growth prediction performed with Ricketts´ growth prediction method from first cephalogram was compared with actual growth of the second cephal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ctual growth and growth prediction in Potion Location, Ramus Position, Facial Depth, Facial Axis, Mandibular Plane angle, Maxillary Convexity. So, for these items Ricketts´ growth prediction method is not proper to predict growth. 2. Although the growth amount of mandibular body was similar to normal growth amount, mandible was positioned anteriorly because-of Potion Location and Ramus Position. 3.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the tendency of mandibular prognatbism might be aggreviated because. of anterior placement of rarnus and anterosuperior rotation of pogon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