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모두부방사선사진 촬영시 두부의 수직회전에 따른 투사오차
Effects of vertical head rotation on the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measurements
- 대한치과교정학회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제33권 제2호
-
2003.0473 - 84 (12 pages)
- 0
본 연구는 정모두부방사선사진 촬영시 수직적 두부회전이 방사선 사진상의 계측치들에 어느 정도의 투사오차를 야기시키는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임상검사를 통하여 두드러진 전후방 골격이상이나 뚜렷한 안면비대칭을 보이지 않는 성인 25명을 대상으로 natural head position 상태를 기준위치(0°)로 정하고 이 위치에 대해 양쪽 ear rod를 연결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두부를 상, 하방으로 5°, 10° 씩 회전시킨 상태에서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각각 촬영하여 투사도를 작성한 다음 7개의 고경항목, 5개의 폭경항목, 6개의 각도항목을 계측하였다. 각 회전각도에서의 계측치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고경계측항목의 투사오차가 폭경이나 각도계측항목에 비해 전반적으로 큰 양상을 나타냈다. 2. 고경계측항목 중 회전축으로부터 먼 계측점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항목일수록 투사오차가 컸다. 3. 폭경계측항목 중 비강폭경, 상악폭경, 상악 제1대구치간 폭경은 각 회전각도 간에 통계적 우의차가 없었으나 하악폭경과 하악 제1대구치간 폭경은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있었다. 4. 각도계측항목 중 menton의 편위정도를 나타내는 각도는 각 회전각도 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으나 crista galli와 maxillare를 연결한 선이나, cridta galli와 antegonion을 연결한 선과 수평기준선이 이루는 각도는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수직적 두부회전에 의해 정모두부방사선사진상에 투사오차가 발생하므로 유용한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촬영시마다 동일한 두부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how much projection errors in the cephalometric measurements were made by vertical head rotation in taking posteroanterior cephalograms. 25 adults without any apparent facial asymmetry or severe sagittal skeletal discrepancy were selected and the posteroanterior cephalograms were taken with the head rotated 5° , 10° superior and inferior each to the reference position(0° ). The 7 height. 5 width and 6 angular measurements were taken at each 5 positions.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all measurements taken at each rotated position,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projection errors of height measurements were remarkably larger than those of width or angular measurements. 2. Among the height measurements, the farther to the rotation axis the measurements were, the larger the projection errors were. 3. Among the width measurements, mandibular width and intermolar width of mandibular first mola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values taken at each rotated position, while nasal width, maxillary width and intermolar width of maxillary first molars did not. 4. Among the angular measurements, the angle between horizontal reference line and the line that is connected to crista galli and antegonion or maxilla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values taken at each rotated position.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the effort to keep constant head position for taking the useful posteroanterior cephalogram, because projection errors are caused by vertical head rotation.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