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Pont 지수의 임상적 적합성에 대한 평가

An evaluation of the adequacy of PONT´s index

  • 3

치열궁의 확장은 치아의 총생 부정교합을 비발치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중 하나이며, 치열 궁 확장의 진단과 치료를 위하여 상악절치의 근원심 폭경으로부터 이상적인 제1소구치간 치 열궁 폭경과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을 예측하는 공식이 제시되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제시된 공식중에서 Pont의 예측식, Schmuth의 예측식 및 Cha 들의 예측식을 정상교합의 계측과 비교하고, 이들 예측식의 임상적 신뢰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13세에서 23세사이의 한국인 태생 정상교합자의 석고모형을 대상으로 상악 절치 근원심 폭경, 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 및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사이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으 며, 정상교합의 절치폭경의 합을 Pont의 예측식, Schmuth의 예측식 및 Cha 들의 예측식에 대입하여 이상적 제1소구치간 및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의 예측치를 산출하고, 이를 정상 교합자의 그것과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와 결론을 얻었다. 1. 정상교합에서 상악 절치 근원심 폭경의 합 (SI) 으로부터 산출된 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 경 지수는 81.96이었고, 제1 대구치간 치열궁 폭경 지수는 62.55이었다. 2. 정상교합에서 상악 절치 근원심 폭경의 합 (SI) 과 제 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 (PmW) 사 이의 상관계수는 0.50이었고,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MW)사이의 상관계수는 0.39로 모두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저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3. 정상교합에서 상악 절치 근원심 폭경의 합으로부터 제1소구치간 폭경과 제1대구치간 폭 경의 예측을 위한 상관식은 신뢰성이 매우 낮았다 (r<sup>2</sup>=0.25, r<sup>2</sup>=0.15). 4. 이상적 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의 예측이 1mm의 오차한계 이내로 예측된 경우는 Cha 드의 예측식이 가장 높으며 (45%), Pont의 예측식과 Schmute의 예측식은 각각 40% 와 39% 이었다. 6. 이상적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의 예측에 있어서 모든 예측식은 작게 예측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Cha들의 예측식은 예측성이 가장 양호하였다. 7. 이상적 제1대구간 치열궁 폭경의 예측이 1mm의 오차한계 이내로 예측된 경우는 Cha 들 의 예측식이 40%로 가장 높으며, Pont와 Schmuth의 예측식은 각각 29% 와 13% 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상악 절치의 근원심 폭경의 합으로부터 이상적 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 및 제1대구간 치열궁 폭경을 예측하는 것은 임상적 신뢰성이 낮을 것임을 시사한다.

Dental arch expansion in one of the method used to solve the dental crowding problem by non-extraction. Many formulae using tooth size have been suggested to predict ideal inter-premolar and inter-molar wid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dequacy of some of some upper dental arch width prediction methods, namely Pont`s method, Schmuth´s method and Cha´s method. The sample consisted of the casts of 119 Korean young adults who had no muscular abnormality, no skeletal discrepancy, and Angle´s Class I molar relationships. Measurements were obtained directly form plaster casts; they included mesiodistal crown diameters of the four maxillary incisors, as well as maxillary inter-first-premolar and inter-first-molar arch widths as specified by Pon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sum of incisors(SI) and upper dental arch width were calculated. The differences between predicted width and actual width wee classified as overestimated, properestimated, and underestimated. The data obtained from each group were analyzed for statistical differ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Upper dental arch width indices were calculated from SI in normal occlusion (81.96 : premolar index, 62.55 : molar index). 2. Low correlations between SI and arch width were noted in normal occlusion (0.50 in the inter-premolar width, 0.39 in the inter-molar width). 3. Pont´s formula and Schmuth´s formula tended to overestimate the inter-premolar. A more even distribution of estimates was noted in Cha´s formula. 4. Cases within ±1mm range of observed inter-premolar width were 45% in the Pont´s formula, and 39% in the Schmuth´s formula. 5. All formulae had a tendency to underestimate the inter-molar width, but Cha´s formula had better predictability than others. 6. Cases within ±1mm range of observed inter-molar width were 40% in the Cha´s formula, 29% in the Pont´s formula, and 13% of Schmuth´s formula. The data presented in this study dose not support the clinical usefulness of ideal arch width prediction methods using the mesiodistal width of maxillary incisor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