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한국인 7-17세 아동의 두개저, 상악, 하악의 성장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A semilogitudinal study on cranial base, maxilliary and mandibular growth of Korean children aging 7 to 17 years old

  • 19

한국인 7-17세 아동의 두개저, 상악, 하악의 사춘기 성장 양상을 파악해 보고자 남자 251 개, 여자 286개의 측모 두부계측방사선 사진을 이용, 10개의 계측점과 16개의 계측항목을 설 정하고 계측항목에 대한 계측치와 각 연령별 년간 누년차를 산출한 다음 이들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각 계측항목을 두개저, 상악, 하악의 세군으로 분류하고 또 남녀별로 분류하여 비교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한국인 성장기 아동에 있어서의 성장은 남자아동에 비해 여자 아동이 빠른 시기에 일어 났다. 2. 두개저, 성악골, 하악골 모두 사춘기 성장을 나타내었으며 두개저의 성장은 안면골 성장 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았다. 3. 두개저 성장에 있어서 전두개저 길이의 증가에 비해 중두개저 및 후두개저의 길이 증가 가 현저했으며 사춘기 성장 증가(circulmpuberal growth supurt)양상도 보다 명확했다. 4. 상악골의 전하방 이동은 상악골 자체의 길이 성장과 상악골 주위 봉합부의 성장에 따른 변위가 종합된 결과로 두개저에 대한 상악골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Ar-ANS와 Ar-Pr 이 상아골 자체의 길이 성장을 나타내는 ANS-PNS보다 많은 성장량을 보였다. 5. 하악골은 수평 성장량에 비해 수직 성장이 약간 크게 나타났으며 유의할 수준은 아니다. 6. 상악 치조골과 하악 치조골은 유치 탈락후 영구치 맹출시기에 최대 성장률을 보인 후 감 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하악 치조골의 수직성장에 사춘기 성장증가가 관찰되었다.

Lateral cephalograms of 251 males and 286 females were taken and pubertal growth pattern of cranial base, maxillary and mandible of 7 to 17 years old Korean Children was evaluated. 10 landmarks and 16 analytical measurements were evaluated. Analytical measurement and annual difference for each age group was calculated and teste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Analytical measurem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which wee cranial base. maxillary and mandibular measurements and also classified into make and female measurements. Following results were achieved. 1. The circumpuberal growth spurt was earlier in Korean females than in males. 2. Cranial base, maxilla and mandible showed cirumpuberal growth. The cranial base showed a relatively smaller amount of growth the facial complex. 3. Middle and posterior cranial base length showed a greater increased than anterior cranial base length and circumpuberal growth spurt was also more definite. 4. The forward and downward growth of maxilla results from maxillary growth itself and transposition of the maxilla due to circumsutural growth around the maxilla. Ar-ANS and Ar-Pr which represent maxillary position relative to the cranial base showed more growth than ANS-PNS which represents maxillary bone growth. 5. mandible showed more vertical growth than horizontal growth but without significance. 6. Alveolar growth of maxilla and mandible show maximum growth rate of the time of permanent teeth eruption following loss of deciduous teeth. After this period alveolar growth shows a decreasing tendency.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