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개방교합성 골격 형태를 가진 아동과 성인의 치성보상 양상

Dentoalveolar compensation of hyperdivergent skeletal pattern in children and adults

  • 20

심한 골격성 부조화를 보이는 환자에서 치열 보상에 의하여 교합접촉이 양호하게 유지되 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치열보상은 삼차원 평면 모두에서 발생한다. 본 연구 에서는 개방교합성 골격형태의 치열보상 양상을 관찰하고, 이러한 골격형태를 보이는 성인 과 아동의 치열보상 양상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개방교합성 골격형태를 보이는 환자 60명과 정상군 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각각을 연령에 따라 8-12세의 아동군과 17 세 이상의 성인군으로 분류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개교성골격군의 후하안면고경은 아도과 성인 모두에서 정상군보다 작으며(p<0.01), 전하 안면고경은 아동에서 정상군과 차이가 없으나 성인에서는 정상군보다 크다(p<0.01). 2 .개교성골격군에서 기저골 길이에 대한 상하악 전치의 맹출비는 아동기에 정상군보다 크 며(p<0.05) 하악 전치의 맹출비는 아동기와 유사하였다. 3. 개교성골격군에서 상·하악 구치의 기저골의 길이에 대한 상대적인 맹출량은 아동기에 정상군과 차이가 없었지만, 성인에서 상악 구치의 상대적인 맹출량은 정상군보다 컸으며(p <0.01), 하악 구치의 상대적인 맹출량은 정상군과 동일하였다. 4. 개교성골격군에서 하악평면에 대한 하악 교합평면의 경사는 아동이나 성인 모두에서 정 상군보다 더 큰 각을 이루며 (p<0.01), 상악 교합평면 경사는 성인기에 아동기보다 컸다.(p <0.05). 상악 교합평면은 성인기에 아동기보다 전상방경사를 보였다.(p<0.01). 5. 개교성골격군에서의 치성보상은 아동기에 이미 상·하악 전치부의 과맹출에 의하여 이루 어진다. 개교성골격군은 성장과정 중 상악 구치부의 과도한 수직적 발육을 보이며 이에 대 한 보상적 반응으로 상·하악 전치부는 정상군보다 더 큰 맹출량을 보이는데 특히 상악 전 치부에서 더 큰 맹출비를 보인다.

Although there is a severe underlying skeletal deformity, the dentition has often maintained some occlusal contact and interdigitation by the teeth compensating in their positions for the skeletal problem, and these dental compensations are manifested in all three planes of space. The purposes of present investigation were 1) to study the pattern of dentoalveolar compensation of hyperdivergent skeletal pattern : and 2) to compare the centoalveolar compensations of hyperdivergent skeletal pattern in children with adults. The samples selected for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60 subjects in normal group, 60 subjects in hperdivergent group. each was divided into two subgroups by age ; child groups(8∼12yr old) and adult groups(17yr old ov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child, hyperdivergent subjects had smaller posterior lower facial height(p<0.01) and slightly longer anterior lower facial height than normal ones. In adults, they still expressed smaller posterior lower facial height and much longer anterior lower facial height than normal ones(p<0.01). 2. Hyperdivergent subjects had larger amount of upper and lower incisor relative eruption to their basal bone length than normal ones(p<0.05). In adult, relative eruption of upper incisor was increasing(p<0.05), although relative eruption of lower incisor remained the same as the child. 3. In chil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hyperdivergent group and normal one in the upper and lower molar relative eruption to their basal bone length. In adult, hyperdivergent group had larger amount of upper molar relative eruption than normal ones(p<0.01), but relative eruption of lower molar was similar to normal ones. 4. hyperdivergent group had larger angle between lower occlusal plane and mandibular plane than normal group(p<0.01). Upper occlusal plane of adult group rotated more antero-superiorly than child groups, and adult hyperdivergent group had steeper upper occlusal plane than normal group(p<0.05).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