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가 법랑질 탈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ffect of fluoride releasing orthodontic sealants on enamel demineralization in vitro

  • 3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의 법랑질 탈회에 대한 효과를 미세경도법을 통 해 실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112개의 치아를 7개의 군으로 나누어 실험편을 제작한 뒤, 4 개의 군에 광중합형 (L1군, L2군) 및 자가중합형 (S1군, S2군) 교정용 전색제인 FluoroBond<sup>&#174;</sup>를 실험편에 도포하고 인공우식용액하에서 실험적으로 처리 완 료된 실험편에 Knoop indenter를 부착한 Tukon microhardness tester를 이용해 미세경도를 측정하였고, 이를 KHN(Knoop hardness number)으로 환산하고 조직의 변성 여부를 검색하 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법랑질 깊이에 따른 미세경도는 모든군의 50㎛ 깊이에서 최소였고, 200㎛에서 최고인 L2 군을 제외한 모든군의 300㎛깊이에서 최고의 수치를 보였으며, L2, S2군을 제외한 모든군에 서 법랑질 깊이가 증가됨에 따라 미세경도치도 증가되었다. 2. 광중합형 및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 군 모두 어느정도 치아우식에 저항하는 예방효과 를 가지고 있었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5) 3. 광중합형 교정용 전색제는 법랑질 깊이 100㎛, 150㎛, 200㎛에서 치아우식 진행 억제효과 가 있었다.(p<0.05) 4.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는 법랑질 깊이 150㎛에서 치아우식 진행 억제효과가 있었 다.(p<0.05) 5. 광중합형교정용 전색제 군과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 군사의 법랑질 탈회억제 효과의 차이는 없었다.(p>0.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fluoride releasing orthodontic sealants, light-cured(Group L1 &amp; L2) and self-cured (Group S1 &amp; S2) FluoroBond<sup>?</sup>, on enamel microhardness under artificial carious solution in vitro 112 extracted human premolar teeth were collected for experiments and divided into seven groups. A Tukon microhardness tester equipped with a Knoop diamond indenter was employed to determine microhardness. Tukon 23 program converted the number of microhardness into KHN(Knoop hardness numb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icrohardness of enamel depth of all groups were the least at the depth of 50㎛ and that of all groups except L2 group, the greatest at the depth of 200㎛, were the greatest at the depth of 300㎛. And as the enamel depth of all groups except L2 and S2 group increased, the microhardness value also increased. 2. There was a little preventive effect in enamel decalcification both light-and self-cured orthodontic sealant groups, but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groups(p&gt;0.05). 3. Light-cured ortodontic sealant groups had a progressive inhibiting effect in enamel decalcification at the depth of 100㎛, 150㎛, and 200㎛(p&lt;0.05). 4. Self-cured ortodontic sealant groups had a progressive inhibiting effect in enamel decalcification at the depth of 150㎛(p&lt;0.05). 5.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anti-enamel demineralization effect between light-and self-cured orthodontic sealant groups(p&gt;0.05).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