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유성견의 소구치 압하시 초기 치아 및 치주 조직의 조직학적 변화와 재생에 관한 연구

EARLY HISTO(PATHO)LOGIC CHANGES AND RECOVERY OF TOOTH AND PERIODONTAL TISSUE IN INTRUSION OF PREMOLAR ON YOUNG ADULT DOGS

  • 5

치아에 압하력을 elactic chain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교정력을 평균9개월된 유 성견의 소구치에 가한 직후 치아와 그 주위조직에서 일어나는 조직학적인 변화와 압하력을 제거한 후 일정기간이 지난 후 변화되었던 조직의 회복양상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교정치료를 위한 생물학적인 근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Hematoxylin & Eosin 및 Masson´s Trichrome 염색법을 이용하여 치아와 주위조직의 반응을 치경부, 치근 중앙보, 치근단부로 나누어 광학현미경하에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조군의 HE 소견에서 치주인대는 치근단부에서 치근경부까지 비교적 균일한 두께를 나타냈고, 치주인대의 주행방향은 치근경부에 수평 또는 약간 경사져 있었으며, 치근 중앙부와 치근단부에서는 사선으로 주행하였다. 2. 대조군의 MT 소견에서 치경부에서는 조골세포 및 파골세포가 나타났으며 치경부, 치근 중앙부 그리고 치근단부에 약한 골흡수와 신생골 침착이 보였다. 3.실험 I군에서는 치근단부에서 뚜렷한 파골세포의 증가와 혈관 충혈이 보였으며, 신생골 형성과 불규칙한 반전선들이 나타나 골흡수하는 양상을 보였다. 치주인대는 치경부에서 치근단에 이르기까지 뚜렷한 증가를 보였으며 치근단부에서 더 심하였다. 4. 실험 2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조골세호가 치근단부에서 혈관 충혈과 함께 여전히 관찰되었다. 치주인대 폭경은 치근단부에서 대조군에 비해서는 증가되었고 1군에 비해서는 감소된 양상을 보였다. 치주인대 주행방향은 1군과 같았고 단지 치근단부에서 혼합된 양상으로 관찰되었다. 이상과 같은 소견으로 보아 유성견 하악 소구치 압하시 초기 조직변화 에서 압박을 받는 치근단부에서 파골세포의 뚜렷한 증가, 출혈상 및 간격 확장, 그리고 골흡수와 백악질 흡수가 현저히 나타났으며, 치주인대 주행 방향도 다양하였다. 또한 압하력을 제거한 후에 변형되었던 치아와 치아 주위조직들이 완전한 회복 양상을 보이지는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itial tissue change, to repair on the teeth & surrounding tissue under the intrusive orthodontic forces by use of elastic chain, through the microscopic findings. For this-study, three young adult mongrel dogs were used, and were divied into three group ; the control group was deliveried only casting crown, and the experimental group I was equipped with energy chain during I week, and experimental 2 group was deliveried using energy chain during 1 week, and 3 weeks observation. All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were sacrificed to make the samples for microscopic findings on premolar teeth. All samples were examed and compared the histologic changes through the microscopic with H-E stain.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hematoxylin-eosin stain of the control group, the periodontal ligament was constant width from apical third to cervical third of the root, and the periodontal fiber arrangement was horizontal or oblique in cervical third, oblique in middle and apical third of the root. 2. In Masson Trichrome stain of the control group, osteoblast and osteoclast appeared in cervical third of root , and bone resorption and new bone formation was observed in middle and apical third of the root. 3. In experimental 1, osteoclasts were increased highly, and hyperemia of blood vessels and new bone formation and bone resorption by reversal line in apical third of the root were seen. PDL width was increased apprarently from crest to apex of the root and more in apical third. 4. In experimental 2, osteoclasts and hyperemia of blood vessels were more increased than control material in apical third of the root. PDL width was increased more than control group in root apex, and was seen less than experimental 1. PDL arrangement was similar to experimental i and was mixed only in root apex. Therefore, in premolar intrusion of the young adult dog, there were increased osteoclast, hyperemia and dilation of blood vessel, resorption of alveolar bone and cementum, and different arrangement of PDL in initial tissue change. There was not observed complete repair after remove intrusive forc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