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유년기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에서 이모장치의 효과에 관한 유한요소분석법적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E CHINCAP BY FINITE ELEMENT ANALYSIS IN JUVENILE SKELETAL CLASS Ⅲ PATIENTS

  • 3

본 연구는 사춘기전 III급 부정교합자에 있어서 이모장치가 악안면 골격의 각 구성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이모장치 및 부가적인 상악의 가철식 장치를 이용하여 치료한 III급 부정교합자 중에서, 치료 시작 시기가 7세경인 29명(남자 14명, 여자 15명)을 실험군으로 하여 치료전 및 약 2년 경과후의 측모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유한요소법으로 분석하였다. 비슷한 연령의 교정치료를 받지 않은 III급 부정교합자 21명(남자 10명, 여자 11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2년간의 성장을 관찰하여 얻은 측모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이용하였다. 이들의 변화에 대하여 유한요소분석을 실시하고, independent group t-test(p<0.05)를 사용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두개저, 후안면, 상전안면, 하악지, 이부, 연주직 부위는 이모장치에 의해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2. 하악골체는 최소 신장률 및 형태의 변화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여 수직방향의 성장량이 감소함을 보였다. 3. 상악기저골의 경우 주 성장방향이 대조군에 비해 수평적으로 나타나, 수직성장이 억제됨을 보였다. 4. 치료군의 전안면은 주된 변화 방향이 하전방으로, 대조군의 상전방 방향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이모장치에 의한 하악골의 후방 회전 또는 변위에 의해 전하안면의 성장 방향의 변화됨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에 의해 구내 기능공간의 변화도 나타났다고 생각된다. 5.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이모장치에 의한 골격의 성장 억제, 성장 방향으리 변화 및 형태변화가 부분적으로 인정되나, 주된 효과는 하악골의 회전 및 변위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structural parts of the craniofacial skeleton subsequent to chincap therapy in the juvenile skeletal Class Ill Patients. The subject consisted of 29 Korean children(14 males, 15 females) who had skeletal Class M malocclusion and were undergone chincap therapy from the beginning of the treatment (and an auxiThary upper removable appliance, if necessary).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21 children(10 males, 11 females) with skeletal Class Ill malocclusion who had no orthodontic treatment. Cephalometric data at the mean age of 7 and 2 years later were analyized by finite element method, and compared between groups by independent group t-test(p<0.05).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cranial base, posterior face, upper anterior face, ramus, chin and soft tissues by the chincap therapy. 2. The mandibular bo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inimum extention ratio and the overall shape ratio. This means that the vertical direction of growth was retarded by the chincap therapy. 3. The major direction of the growth in the maxillary basal bone was significantly more horizontal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suggests that the vertical growth of maxilla was inhibited. 4.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major direction of the growth of the anterior face between groups. This may be due to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jor direction of growth of the lower anterior face, supposed to be resulted from the mandibular rotation and/or displacement by the chincap therapy. The change in the oral functional space seemed to be caused by the same reason. 5. From the standpoint of these results, the retardation of growth, the changes of the growth direction and the morphological changes could be accepted partly, but the major effect of the chincap seems to be the rotation and the displacement of the mandibl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