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치아이동에 의한 백서 삼차신경감각핵군내 c-Fos의 발현

C-FOS EXPRESSION IN THE RAT TRIGEMINAL SENSORY NUCLEUS COMPLEX FOLLOWING TOOTH MOVEMENT

이 연구의 목적은 말초조직에 유해 자극을 가하였을 때 중추 신경계내 이차 신경 세포체내에 발현되어 neuronal marker로 사용되고 있는 c-fos를 사용한 면역 조직화학법으로 치아이동시 동반되는 동통의 투사경로의 이해에 도움을 주고자하는 것이다. 생후 9주령의 210gm내외의 Sprague-Dawley계 응성 백서 21마리를 교정력을 가하지 않고 마취만을 시행한 정상대조군과 교정력 적용 시간 경과에 따라 1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1일, 3일 군으로 나우어 각 해당 시간동안 상악 우측 제 1대구치와 상악 우측 측절치사이에 Ni-Ti coil spring를 결찰하여 30gm내외의 지속적인 교정력을 가한 후 희생시켰다. 희생시킨 백서의 뇌간을 적축하여 토끼의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삼차신경 감각핵군내 부위에 따른 c-fos 면역 반응 세포를 측정하여 교정력 적용 기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 c-fos 면역 반응 세로의 배측에서의 분포는 자극측 중위핵과 미측핵의 이행부위에서 시작하여 제 1경추 척수 후각에까지 이어졌는데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인 곳은 미측핵의 문측부위였다. 그리고 주고 I층과 II층에서 관찰되었다. • 복측에서의 c-fos면역 반응 세포의 분포는 자극측 중위핵의 미측 부위에서 시작하여 미측핵의 중간부위에 까지 이어졌다. • 교정력 적용 3,6시간군에서 c-fos 면역 반응 세포가 가장 많이 관찰 되었으며 12시간군에서 감소되기 시작하여 1일, 3일군에서는 현저히 감소 하였다. 위로 미루어 볼때 지속적인 교정력에 의한 동통은 중위핵과 미측핵의 이행부위, 미측핵, 제 1경추 척수후각에서 매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c-fos is known as neuronal marker of second neurons which is activated by noxious peripheral stimulation.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c-fos expression in the trigeminal n icleus complex during tooth movement, immunohistochemical study was performed. Experimental rats(9 weeks old, 210 gm, 21 rats) were divided into seven groups( normal, i hour group, 3 hour group, 6 hour group, 12 hour group, 1 day group, 3 day group). Rats in the normal group were anesthesized without orthodontic force. Rats in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applied orthodontic force (approximately 30 gm) to upper right maxillary molar. Frozen sections of brain stem were immunostained using rabbit antisera. The changes of c-fos expression were observed with respect to rostrocaudal distribution, laminar organization, and duration of orthodontic force application.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c-fos nuclei in the dorsal part were observed from ipsilateral transition zone of subnucleus interpolaris and subnucleus caudalis to Ci cervical dorsal horn rostrocaudally. The maximal peak point was the rostral part of subnucleus caudalis. The greatest proportion of c-fos cells were located within lamina I and II. • The c-fos nuclei in the dorsal part were observed from the most caudal part of subnucleus interpolaris to the middle part of the subnucleus caudalis. • The number of c-fos imniunoreactive dot increased at 1 hour group, reached its maximum at the 3 and 6 hour groups, and showed a decreasing trend after 12 hours. These results imply that nociceptive stimulation caused by continuous orthodontic force might be modulated by transition zone of subnucleus interpolaris and subnucleus caudalis, subnucleus caudalis, Ci spinal dorsal ho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