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한국인 여성 Ⅱ급 2류 부정교합환자의 측모두부방사선 형태학적 특징

A cephalometric study on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Class Ⅱ division 2 malocclusion of the Korean Female patients

  • 4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여성 II급 2류 부정교합 환자의 측모두부 방사선계측사진상의 형태학적 특징을 평가하고, 같은 II급 2류 부정교합을 가진 백인과의 형태학적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초진시의 연구모형에서 II급 2류 부정교합과 4mm이상의 수직피개교합 및 영구치열을 가지는 환자로 제한하여 선정하였다. 그후 인종에 따라서 1군 (16명, 한국인 여성, 평균연령:18세 2개월)과 2군 (20명, 백인여성, 평균연령:14세 2개월)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의 측모두부 방사선계측사진의 투사도를 작성한 후 38항목을 계측하였고 평균 및 표준편차를 계산하였다. 군간의 비교를 위하여 independent t-test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치부 수식피개 교합량, 항목은 1, 2 군간의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과 항목은 1군이 크게 나타나서 2군에 비해 구개평면과 교합평면의 전하방 경사를 보였다. 그리고 ODI 항목은 1군이 2군에 비해 과개교합 경향이 낮게 나타났다. 2. 하악체와 하악지의 길이 항목은 1, 2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으나, 항목이 1군이 2군에 비해 현저히 작아서 하악골의 반시계방향 회전 경향이 감소되었음을 나타내었다. 3. 전안면고경의 상하비율과 전후안면고경비율 항목은 1, 2 군간의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4. 전치부 수평피개 교합량과 하악골의 전후방위치 항목은 1, 2 군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상악골은 1군이 2군에 비해 후방위치되었다. 5. 상하악 기저골에 대한 하악전치의 돌출도 항목이 1군이 더 크게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는 상,하악 절치의 기준 평면에 대한 경사도와 거리 및 절치간각 항목은 1, 2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6. 상악구치의 구개평면에 대한 수직거리 항목은 1,2 군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하악구치의 하악평면에 대한 수직거리 항목은 1군이 크게 나타났으며, 이것과 교합 평면의 전하방 경사와 감소된 하악골의 반시계방향 회전 경향이 관계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7. Ricketts의 심미선에 대한 상순과 하순의 돌출도 항목은 1군이 모두 크게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cephalometric clv racteristics of Korean female patients with Class II division 2 malocclusion and to compare Korean females with Caucasian females who had same type of malocclusion. All of the samples had Class II division 2 malocclusion with deep overbite (more than 4nun) and fulll permanent´ dentition. These sampl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races: Group 1(N=16; Korean females; average age=18Y 2M) and Group 2 (N=20; Caucasian females; average age=14Y 2M). The pretreatment lateral cephalograms were measured, analyzed and compared by using 38 variables and independent t-test.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Overbite, SN to mandibular plane angle, Palatomandibular plane angle, and FMA between Group 1 and 2, the other vertical relation variables of maxilla and mandible (SN to palatal plane angle, SN to occlusal plane angle, ODD of Group 1 showed more clockwise rotation tendency of occlusal plane and less hypodivergency tendency than those of Group 2. 2.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andibular body length and ramus height between Group 1 and 2 except small upper gonial angle of Group 1. There was less counterclockwise rotation tendency of mandible in Group 1. 3.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UAFH/LAFH and PFH/AFH between Group 1 and 2. 4.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overjet and anteroposterior position of mandible between Group 1 and 2, the position of maxilla of Group 1 was more retropositioned than that of Group 2. 5. Except the more protrusion of lower incisor to A-Pog of Group 1,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inclination and distance of upper and lower incisors to basal plane between Group 1 and 2. 6. The distance from upper first molar to palatal plane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Group 1 and 2. But the distance from lower first molar to mandibular plane of Group 1 was greater than that of Group 2. So it may be partially related to the clockwise rotation of occlusal plane and the less counterclockwise rotation tendency of mandible of Group 1. 7. Group 1 had more protrusive upper and lower lips than Group 2.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