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멸균과정이 nickel titanium 호선의 기계적 성질과 표면상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t Sterilization on the Surface Topography and the Tensile Properties in Various Nickel Titanium Wires Including a Korean Product
- 대한치과교정학회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제28권 제6호
-
1998.12927 - 935 (9 pages)
- 이용수 4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수종의 nickel titanium 호선을 열멸균 처리 하였을 때 나타나는 물리적성질과 표면상태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에 사용되 재료는 국산제품을 포함한 4종의 .016 x .22 각형 nickel-titanium 호선이며, 이들의 건열소독(180°C, 60분)군과 가압증기멸균(121°C, 15-20 psi, 30분)군, 그리고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구분하였다. 인정특성은 Instron (Model 4466, load cell capacity : 1000 kg)을 이용하여 표점거리 40mm, cross head는 분당 5mm의 속도, 실온의 조건에서 평가하였으며 최대인장강도와 연신율, 그리고 탄성률을 측정 및 계산하였다. 표면상태는 주사전자현미경과 profilometer로써 평가하였고, t-teat를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에 사용된 nickel titanium 호선들은 모두 두가지 열멸균 처리에 의해 인장특성에 있어서 유의할 만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2. 대조군에서 NiTi가 가장 높은 표면 거칠기를 보였고, Align과 Sentalloy는 동일한 정도의 값을, Optimalloy는 가장 낮은 값을 지니고 있었다. 3. Align과 Optimalloy는 두가지 열멸균처리 후에 유위할 만한 표묜상태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NiTi는 건열소 독후에 표면거칠기의 증가를 보였으며 Sentalloy는 두가지 열멸균후에 표면상태의 변화와 표면거칠기의 유위한 증가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surface topography of various nickel titanium wires after heat sterilization for recycling with quantitative method. The materials used were four kinds of nickel titanium orthodontic wires including a Korean product Experimental specimens were treated with two kinds of heat sterilization methods ; dry heat (180°C, 60mim) and autoclave (121°C, 15-20psi, 30min). Mechan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by tensile test with Instron 4466 (load cell capacity :1000 kg, cross head speed : 5mm/min, grip distance:40mm, in room temperature). Surface topography of various wires was compared with each other qualitatively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quantitatively by using profilometer. The finding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with student t-tes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Neither method of heat sterilization hod any effects on tensile properties of the nickel-titanium wires used in this experiment 2. Before heat sterilization, the surface smoothness was highest in Optimalloy, followed by Align and Sentailoy, with NiTi showing the lowest smoothness value. 3. In surface topography, Align and Optimalloy were not influenced by heat sterilization. NiTi, on the other hand, had increased roughness after dry heat sterilization and Sentalloy showed the same tendency after each of the two heat sterilization procedures.
목차
등록된 목차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0)
- 편측성 순구개열 신생아 환자의 술전 비치조 정형장치
- 매복된 치아의 교정적 견인을 통한 치험예
- 열멸균과정이 nickel titanium 호선의 기계적 성질과 표면상태에 미치는 영향
- 수직적으로 긴 안모의 두부방사선계측학적 특징
- 하악 전치의 선천적 결손을 동반한 부정 교합의 치험례
- 한국인에서 분절골 절단술 후 연조직 변화의 평가
- 골모세포유사세포의 cytoskeletal change가 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전단접착강도와 탈락양상을 고려한 브라켓-접착제의 선택
- 전치부 개방교합의 진단과 치료
- 법랑질 표면에 크리스탈을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한 황산리튬이 함유된 폴리아크릴산의 농도와 적용시간에 관한 연구
추천 논문
-
김병호, 남동석, 양원식 대한치과교정학회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Vol.28 No.6 Serial No.71 1998.01
-
류도윤(Do-Yoon Ryu), 주유진(Yu-Jin Joo), 김도용(Do-Yong Kim), 김대기(Dae-Gi Kim)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환경에너지공학 제18권 제1호 2023.07
최근이용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