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한 수완부 골성숙도의 추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estimating skeletal maturity of hand-wrist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
- 김경호(Kyung-Ho Kim) 유형석(Hyung-Seog Yu) 김석현(Suk-Hyun Kim)
- 대한치과교정학회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제27권 제5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1997.10
- 853 - 864 (12 pages)
성장의 잠재력에 대한 평가는 개체의 성숙도를 나타내는 여러 생리학적 지표(physiologic indicators)들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 중 골성숙도(skeletal maturity)는 성적성숙도(sexual maturity)와 신장의 성장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치아발율과 상관관계에 대해선 논란이 많은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하악 견치를 포함한 일부 치아의 발육이 골성숙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7세에서 15세까지의 한국인 남,녀 아동 387명의 수완부 방사선 사진과 파노라마 사진을 이용하여 Fishman 방법과 Greulich와 pyle 방법에 의해 골성숙도를 평가하였으며 변형된 Demirjiran 방법에 의해 치아의 성숙도를 평가하여, 수완부 방사선 사진의 도움 없이 골성숙도를 추정할수 있는 방법을 구하고자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한 수완부 골성숙도의 추정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성숙 지수의 추정을 위한 아래의 다중회귀모형은 84%의 설명력을 나타내며 연대연령, 성별, 하악 견치의 회귀계수는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골성숙 지수 = 0.60 X 연대연령 - 1.67 x 성별 +0.88x 하악 견치 - 0.05x 하악 제2대구치-10.3 2. 골연렁의 추정을 위한 아래의 다중회귀모형은 87%의 설명력을 나타내며 연대연령, 성별, 하악 견치의 회귀계수는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골연령 = 0.75x연대연령 - 0.55x성별 + 0.71하악 견치 + 0.09x하악 제2 대구치 - 5.77 (성별: 남자=1, 여자=0, 하악 견치, 제2대구치 : 각 발육단계별 평균연령)
The evaluation of growth potency can be done with many physiologic indicators. It has well known that skeletal maturity has a close relation with both sexual maturity and somatic maturity, but the correlation between skeletal maturity and dental maturity was believed to be less certain. But, recent studies show that specific teeth. including lower canines, present close correlations with skeletal maturity, So, in this study, we studide hand-wrist X-ray films and orthopantomagrams of 387 Korean boys and girls aged from 7 to 15; the purpose was to determine skeletal and dental maturity, and to find out a new method to estimate individual skeletal maturity using multiple-regression model, without the help of hand-wrist X-ray film. As a result of this study, followings were observed. 1. The following multiple-regression model can estimate skeletal maturity index (SMI) with 84% accuracy, and regression coefficient of chronologic age, sex and lower canine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SMI = 0.60 x chronolngic age - 1.67 x sex<sup>**</sup> + 0.88 x lower canine<sup>*</sup> - 0.55 x lower 2nd molar<sup>*</sup> - 10.3 <sup>*</sup> : mean age corresponding each developing atage, <sup>**</sup> : male = 1, femal = 0 2. The followering multiple-regression model can estimate skeletal age with 87% of accuracy, and regression coefficient of chronologic age, sex and lower canine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Skeletal age = 0.75 x chronolngic age - 0.55 x sex<sup>**</sup> + 0.71 x lower canine<sup>*</sup> - 0.09 x lower 2nd molar<sup>*</sup> - 5.77 <sup>*</sup> : mean age corresponding each developing atage, <sup>**</sup> : male = 1, femal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