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3843.jpg
KCI등재 학술저널

주거환경 관련 국내 작업치료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of Domestic Occupational Therapy Related to Residential Environment

  • 159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발표된 문헌 검토를 통하여 주거환경과 관련된 국내 작업치료 연구동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DBpia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작업치료’, ‘주거환경’, ‘가정환경’, ‘생활환경’, ‘환경수정’을 키워드로 하여 국내학회지를 전자 검색하였다. 2007년부터 2017년까지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2편이 선정되었다. 2007년에서 2017년까지 매년 3편 이하의 주거환경 관련 국내 작업치료 분야 연구가 발행되었으며, 총 5개의 학회에서 주거환경 관련 작업치료 분야 연구를 발행하였다. 주거환경 관련 작업치료 분야 연구주제로 주거환경 관련 평가도구, 주거환경에 대한 디자인 선호도, 주거환경개선 효과, 주거환경 개선 요구도, 유니버설 디자인이 있었으며, 이 중, 주거환경개선 요구도와 관련된 논문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주거환경 관련 작업치료 연구 대상으로 장애인과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 방법별 분석에 따르면 조사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주거환경과 관련된 국내 작업치료 분야의 연구동향 파악은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작업치료 연구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of domestic occupational therapy research related to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literature review published in Korea for the last 10 years. Method : Through the database of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RISS) provided by KERIS and database of DBpia, the keywords occupational therapy , residential environment , home environment , living environment , environment modification to search for articles. A total of 12 articles were selected from 2007 to 2017. Result : From 2007 to 2017, research on domestic occupational therapy related to less than 3 residential environments was conducted every year, and a total of five conferences published residential environment related occupational therapy research. There were research items such as evaluation tool, design preference for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demand for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universal design. Most of articles were about the demand for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e study subjects were mainly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search method, researches were the most common. Conclusion :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trend of domestic occupational therapy related to residential environment will be utilized as basic data of occupational therapy research for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