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3864.jpg
학술저널

자유학기제에서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분석

Analyses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Plan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

  • 322

본 연구는 국가 수준의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계획안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과 시도 교육청 수준의 운영 계획안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을 비교 분석하여 현재 중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자유학기제의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가이드라인과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에서 국가 수준의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계획안과 시도 교육청의 운영 계획안을 비교하기 위한 분석 틀을 제안하였다. 이 같은 분석 틀에 따라 두 운영 계획안에서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시도 교육청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을 그대로 따르는 획일성을 보였지만, 일부 교육청의 교육적 상황과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새로이 창안하거나 신설하여 다양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가 수준에서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명료한 기준과 절차 및 방법을 제시하고, 각 시도 교육청에서 이 기준과 절차 및 방법 중에서 선택과 조합을 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모듈형 교육과정 편성 운영 방식을 제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imed to contrast and analyz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plans presented in the operation plan at the national level and the provincial education office level and to provide a guideline and an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plan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 implemented since the last year.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revealed that most of the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have a tendency of uniformity to follow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plans of the national level, whereas they have a tendency of diversity to create their ow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plans meeting their educational situations, contexts and needs for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a ‘modular’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plans which comprise clear standards, procedures, and methods at the national level should be provided for th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which will be able to select and combine these standards, procedures, and methods from the module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자유학기제 운영 계획안의 분석 틀

4. 분석 결과 및 논의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