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3864.jpg
학술저널

대학생의 핵심역량함양을 위한 교양필수교과목 수업에 대한 효과 분석

Analysis of Effects on the Curriculum Essential Courses to Cultivate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 198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내 핵심역량 교양필수교과목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로 최근 혁신교 수법으로 소개되고 있는 TBL(Team-based Learning) 교수법에 대한 효과분석 연구이다. 수업의 효과는 핵심역량 필수교과목 수업을 수강한 서울소재 S대학교 104명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업은 강의식 수업과 팀기반 수업을 비교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수업은 자기계발역량 과목으로 효과는 진로정체감 검사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대학 내 핵심역량 교양필수교과목 수업은 팀기반 학습으로 설계된 수업이 강의식 수업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이를 중심으로 핵심역량 교양필수 교과목 수업 운영에 대한 제언을 해보면 다음과 같다. 핵심역량 교양필수 교과목 수업의 방법은 팀에 기반을 둔 수업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교수의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보다는 학생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팀수업에 참여하고 팀기반으로 활동하면서 팀원들과 토의와 토론으로 진행한 TBL 교수법은 핵심역량 교양필수 교과목수업의 방법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core competence curriculum essential to the university designed by the team-based learning,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teaching method of TBL (Team-based Learning) The effect of the class was on 104 students of S university in Seoul who took the core competency core course. The results were derived by comparing the lecture class with the team based class. Classes were self - development competence subjects and effects were analyzed by career identity test and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classes designed for team - based learning were more effective than lecture - based classes for core competency core courses. Based on this,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suggestions for the core competency curriculum classes. Core Competence Mandatory Curriculum Classroom instruction should be based on team-based instruction. In other words, the TBL teaching method, which was conducted by the students themselves rather than the one-sided lecture class, was conducted by discussing with the team members and participating in team teaching and team-based activities

1. 서론

2. 본론

3.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