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3864.jpg
학술저널

신체 수치심과 자기자애가 여대생의 운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Body Shame and Self-Compassion on Exercise in Female College Students

  • 36

최근 여대생의 운동 실천율이 증가하면서, 운동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변수인 신체 수치심과 자기자애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여대생의 신체 수치심과 자기자애가 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7년 5월에서 6월 사이 D시 1개 대학 및 2개 전문대학 재학 중인 여대생 507명을 편의 모집하여 자가 보고식 형태의 설문조사를 하였다. 신체 수치심은 한국판 객체화 신체의식 도구(Korean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s, K-OBCS)의 하위영역인 신체수치심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자기자애는 한국판 자기자애 측정도구(Korean Self-Compassion Scale, K-SCC)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0을 이용하여 Binominal logistic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대생의 신체 수치심이 높을수록(AOR:1.09, 95% CI:1.05-1.13, p<.001).자기자애가 높을수록 (AOR:.1.04, 95% CI:.1.01-1.07, p=.037) 운동을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운동을 하는 여대생의 자기자애는 강화시키고, 신체 수치심으로 운동을 하는 여대생에 대해서는 신체수치심을 극복할 수 있는 다른 중재가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Recently, in regard of increase of exercise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there is also a growing interests among researchers in psychological variables of body shame and self-compassion as influencing factors on exerc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ody shame and self-compassion on exercise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507 female college students in 3 colleges located in D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etween May and June, 2017. Korean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s(K-OBCS) was used as a measure of body shame. Self-compassion was measured through items from Korean Self-Compassion Scale(K-SCC).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binominal logistic analysis using IBM SPSS 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aying that factors predicting exercise included body shame (AOR :1.09, 95% CI:1.05-1.13, p<.001) and self-compassion (AOR:.1.04, 95% CI:.1.01-1.07, p=.037).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xercise for female college students need to be performed by improving self-compassion and lowering body shame.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