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홍보 활동에 대한 평가는 다음 홍보활동의 발전을 위해서 중요한 작업임과 동시에, PR에 투입된 예산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되었는지, 얼마나 효과가 있었는지를 알고싶어 하는 클라이언트를 위해서도 매우 필요하다. 또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홍보효과 측정은 정부 예산의 효율적인 운영 측면에서도 그 중요성이 크다. 이에 본 연구는 정책홍보 수단으로서 운영되는 모바일 앱들의 향후 개선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현재 운영되고 있는 모바일 앱을 선정하여 그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조사해 보았다. 특히 앱 속성에 대한 평가, 앱 인게이지먼트, 업무ᐨ매체 적합도 평가 등이 정책홍보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여 앱 활용도에 대한 함의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고용노동부의 모바일 앱에 대해 DIY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게하고, 이후 각 변인들에 대한 측정항목들을 포함한 설문조사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사용성 평가 후 정책홍보결과로서의 신뢰도, 이해도, 기관소통평가 등 모든 평가항목에 대해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모바일 앱 속성 중 상호작용성은 앱 인게이지먼트의 만족도 요소를 매개로 하여 정책홍보효과에 간접적 영향을 주었으며,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이용용이성은 직접적 효과와 간접적 효과 모두를 보여주었다. 신속성은 정책홍보효과에 직접적 영향을 주면서도, 업무ᐨ매체적합도 평가를 매개로 하여 정책홍보효과에 간접적 영향을 주는것으로 나타났다.
The evaluation on the policy PR activities is a very important work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PR activities. Accordingly, it is also significant for clients who want to know how effectively the budget spent for PR has been used, and how effective an activity is. The accurate and objective measurement on the effectiveness of PR is also high in the importance in the aspect of efficient management of government budget. Although studies about the effectiveness utilizing mobile apps have been performed in various areas as the current media environment changes to mobile environment, they have been limited studies in the aspect of advertising and health behavior management and the studies about the effectiveness in the field of policy PR have been rare. As such, for coming up with the futur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mobile apps managed as tools for policy PR, the present study selected a mobile app and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Especially, this study attempted to explicate the implication for the applicability of mobile application by investigating how variables such as the evaluation about app features, app engagement, task-media fit evaluation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policy PR. Methodologically, the current study asked respondents to write down the questionnaires including measurement scales for each variable after performing the DIY usability evaluation about a mobile app operated by the Employment and Labor Ministry. As a result, values of components such as credibility, comprehensiveness, evaluation for communication, etc representing the outcome of policy PR has shown positive changes after usability evaluation. Even though information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ffectiveness of policy PR, interactivity had indirect influence on the policy PR effectiveness through mediation by the satisfaction factors of app engagement.
서론
이론적 고찰
연구모형 및 연구문제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