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구비문학의 사회적 소통과 정서적 공감 기능

The Function of Social Communication and Emotional Empathy of Oral Literature

  • 329

구비문학은 공감적인 소통을 전제로 하는 까닭에 합리적 의사소통이론의 적용을 넘어선다. 구비문학의 소통맥락은 민중의 생활세계 속에서 구성되므로 소통 주체의 사회적 위세와 경제적 위력보다 구연능력이 더 존중된다. 갈래에 따라 구체적 소통 범주와 공감 기능이 서로 다르다. 탈춤처럼 상하종속 체계를 뒤집어버리는 역설적 불평 등 소통으로 인간해방을 구가하는 것이 구비문학의 감성적 소통기능이다. 그러므로 구비문학의 갈래별 존재양상에 따라 사회적 소통의 범주와 의미, 정서적 공감 기능을 제각기 포착할 필요가 있다. 소통의 장벽이 없는 설화의 사회적 소통 범주가 가장 폭넓다. 설화는 세대와 계층, 민족을 넘어서 인류가 공유하는 만큼 서사적 공감대의 폭이 넓은 반면, 공감의 깊이는 상대적으로 낮다. 민요는 현장에서 왕성하게 활동하며 구송되는 까닭에 소통 범주는 상당히 좁다. 객체로서 청자가 따로 없고 모두 발화 주체로서 함께 구송하며, 음악적 신명풀이를 공동으로 하는 까닭에 공감 수준이 아주 높다. 그러므로 설화와 민요는 사회적 소통의 폭과 공감의 수준이 서로 대조적이다. 판소리는 계층 외적 소통으로 신분체제의 모순을 해결하는 사회 통합 기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두 계층을 아우르는 주제와 표현이 이중성을 지닌다. 탈춤은 판소리와 반대로 양반들을 배제함으로써 철저한 계층 내적 소통을 하며, 체제모순을 폭로하고 상하질서를 뒤집어엎는 변혁적 전복으로 민중해방의 공감대를 만끽한다. 그러므로 판소리와 탈춤은 계급적 소통의 외연과, 공감대의 질적 내포가 서로 대조된다. 무가는 설화와 민요, 판소리, 탈춤의 소통방식을 모두 아우르면서 한 단계 넘어서는 초월적 소통양식이다. 무가는 굿판의 주술적 경이와 제의적 신비를 매개로 신과 인간이 서로 초월적 소통을 함으로써 불가사의를 믿을 수밖에 없도록 한다. 따라서 합리적 소통행위이론은 인간 중심주의 소통이자 사회적 소통이며, 작은 소통일 따름이다. 큰 소통은 인간사회를 넘어서 자연과 신의 세계와 초월적 소통을 할 뿐 아니라, 역사적모순까지 끌어와서 해결하고 화해함으로써 현재와 미래의 삶을 건강하게 전망하는 데 까지 나아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구비문학은 사회적 소통의 범주를 집약하거나 확대하는 가운데 정서적 공감에서 신비체험까지 공유하는 신통한 소통 기능을 발휘한다고 할 수 있다.

As oral literature is under the premise of empathic communication, it exceeds the application of rational communication theory. Because the communication context of oral literature is composed in the world of people s living, the oral performance ability of subjects of communication is more respected than the social/economic power. Depending on the part, the concrete communication category and empathy function are different. Singing the human liberation through paradoxical unequal communication overturning the subordinate system like mask dance is the emotional empathy function of oral literature.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capture the category and meaning of social communication and emotional empathy function in accordance with the existential aspect of oral literature in each part. The social communication category of folk tale without communication barrier is the widest. As folk tale is shared by mankind regardless of generation, class, and race, it has the wide width of narrative empathy while the depth of empathy is relatively low. As folk songs are actively recited in site, the communication category is considerably narrow. As there is no designated listener as objects, everyone recites together as subjects of speech for the joint musical excitement, so that the level of empathy is very high. Thus, folk tale and folk song have the contrasting width of social communication and level of empathy to each other. Pansori shows the function of social integration solving the contradiction of status system with the class-external communication. Therefore, the theme and expression putting together two classes have the duality. On the contrary to Pansori, mask dance enjoys the empathy of people s liberation through thorough class-internal communication, disclosure of systemic contradiction, and transformational overturn toppling the hierarchical order by excluding noblemen. Thus, Pansori and mask dance have the contrasting extension of class communication and qualitative intention of empathy. Shamanic song is the one-step higher transcendental communication style covering all the communication methods like folk tale, folk song, Pansori, and mask dance. Shamanic song makes people believe mysteries through the transcendental communication between god and human through the medium of ritualistic mystery and shamanistic wonder of exorcism. Thus, the rational communicative action theory is the anthropocentric communication, social communication, and small communication. The big communication not only performs the transcendental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of nature and god by exceeding the human society, but also healthily prospects the life of present and future by drawing, solving, and reconciling with historical contradictions. Therefore, on top of integrating or expanding the category of social communication, oral literature could show the wonderful communication function to share the emotional empathy and mysterious experience.

1. 대화의 소통을 넘어서는 구비문학의 소통

2. 합리적 의사소통론과 구비문학의 대안 소통

3. 이야기판에서 이루어지는 설화의 열린 소통

4. 생활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민요의 자족적 소통

5. 소리판에서 이루어지는 판소리의 계층 간 소통

6. 탈춤판에서 이루어지는 민중 내적 연대의 소통

7. 굿판에서 이루어지는 무가의 제의적 신인 소통

8. 갈래 유형에 따른 소통과 공감의 상대적 특성

9. 합리적 의사소통을 넘어서는 소통의 다양성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