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돈전풀이>의 갈등구조와 제의적 의미

A Study on the Conflict Structure and Ritual Meaning of “Donjeon-puri”

  • 82

본고는 함경도 망묵굿에서 연행되는 서사무가 <돈전풀이>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간의 갈등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저승돈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둔다. 그리고 이승의 돈과 차별되는 저승돈이라는 개념을 매개로 <돈전풀이>의 제의적 의미까지 도출하고자 한다. <돈전풀이>에 등장하는 궁상이, 배선비, 명월각시는 두 가지 층위의 갈등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먼저, 궁상이와 배선비간의 갈등은 ‘내기’의 형식으로 ‘돈’을 기반으로 한 등가교환체계를 표상하고, 두 남성 인물과 명월각시 사이의 갈등은 ‘불화’의 형식으로 등가교환체계와 증여를 기반으로 한 비균형적 교환체계 사이의 긴장을 표상한다. <돈전풀이>는 걸인잔치와 구슬옷 화소를 통해 비균형적 교환체계의 우위를 선언하고, 궁상이 또한 명월각시와 마찬가지로 비균형적 교환체계로 편입된다. 이후 서사에서는 비균형적 교환체계 안에서 이루어지는 증여의 순환과 物의 증식을 보여준다. 명월각시는 노동을 통해 최초의 증여가 가능하도록 돈을 마련하는 역할을, 궁상이는 그 돈으로 증여를 善순환시켜 물의 증식을 이루어내는 역할을 분담해서 맡음으로써 각각 환전신과 변전신으로서의 능력을 보여준다. 특히, 궁상이와 명월각시 의 경제관념은 제주도의 특수본풀이 <세민황제본풀이>에서 엿볼 수 있듯이, 이승이 아닌 저승에서 통용되는 것이다. 그래서 함경도 망묵굿에서 <돈전풀이>를 구송함으로써 저승돈을 마련하지 못한 망자에게 궁상이와 명월각시를 매개자로 삼아 생자가 저승돈을 증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명월각시와 궁상이가 매개자로 등장하면서 생자와 망자간의 새로운 관계가 드러난다. <돈전풀이>를 구연함으로써 생자는 망자에게 저승돈을 증여하고, 이를 통해 망자의 죽음이 생자에게 끼칠 수 있는 부정적인 액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복록을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린다. <돈전풀이>는 망자가 쓸 저승돈에 대해 이야기하면서도, 이 돈을 천도(薦度)의 필수조건으로 상정함으로써 죽음을 마주한 생자의 적극적인 대응을 독려한다. 망자와 생전에 맺었던 관계는 죽음 이후에 그 방식이 다를 뿐, 증여를 기반으로 둔 ‘생자-망자’간의 호혜적인 관계맺음이 지속되고 있음을 <돈전풀이>를 통해 알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to extract the conflict structure and uncover the ritual meaning of Donjeon-puri, which is one of the shaman myths in Hamgyeong-do Mangmuk-gut. Since Donjeon-puri is a text about money based on an economic view of the afterlife, we have to focus on what this money means and how it is different from money in real life. This is shown by three characters in Donjeon-puri, and that is why I concentrate on the structure of conflict among these characters. The conflict structure of Donjeon-puri consists of two levels. One is the conflict between two male characters, Gungsangi and Bae-Seonbi. The other is the conflict between those male characters and a female character, Myeongwol-Gaksi. The former is described as a gamble battle. The two male characters start to play a game of Korean chess, on which they bet their whole properties. This means that they use their properties from the perspective of an exchange of equivalents mediated by money. They even treat the female as property just like the money. This reveals the violence of the males and also shows that they belong to an economic system featuring the exchange of equivalents. However, Myeongwol-Gaksi does not belong to the system that the two male characters construct. She puts forward a different economic concept: a non-balanced system of exchange, based on gift giving. The narrative of Donjeon-puri finally indicates that this non-balanced system of exchange has ascendancy over the exchange of equivalents using the motif of a beggar party and a marble suit. Moreover, because the gift economy represents an economic view of the afterlife, Gungsangi and Myeongwol-Gaksi become gods of money in the world after death. Though Gungsangi and Myeongwol-Gaksi belong to the same economic system, they take on different roles in the text. Myeongwol-Gaksi s role is creating seed money, which makes the circulation of gifts possible, and Gungsangi s role is circulating the gift system in order to increase the amount of property using the money Myeongwol-Gaksi creates. Therefore, Gungsangi and Myeongwol-Gaksi become two kinds of god: One becomes a god of exchanging money, and the other becomes a god of loans. In Mangmuk-gut in Hamgyeong-do province, living people can give money to the dead through the shaman song Donjeon-puri, which describes the life of gods of money in the world after death, Gungsangi and Myeongwol-Gaksi. This means that the separation between life and death can be overcome by the living. Also, Donjeon-puri emphasizes the basic perspectiv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ving and dead continues even after death, and it is mediated by the concept of money in the afterlife. The narrative of Donjeon-puri highligh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is one of reciprocal solidarity.

1. 서론

2. 인물 간 갈등구조로 본 경제관의 대립

3. 증여의 순환과 物의 증식

4. 저승돈의 개념과 <돈전풀이>의 제의적 의미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