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 ODA사업의 효율성 강화방안: 시스템사고적 접근
Strengthen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related ODA Projects: Application of Systems Thinking Approach
- 장지현(Ji-Hyun Jang)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8권 8호
- 2018.08
- 363 - 372 (10 pages)
2010년 한국이 OECD의 DAC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의 회원국이 된 이후 한국의 공적개발원조 사업 (ODA)D은 규모와 중요성 면에서 더욱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더욱 규모가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ODA 사업 중에서도 특히 교육 목적의 ODA 사업을 중심으로 사업의 효율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론적으로는 지금까지 이 분야에 거의 적용된 적이 없는 시스템사고적 접근방법(Systems Thinking)을 적용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수원국에 대한교육 ODA가 수원국의 국가발전에 더욱 순기능적으로 작동하게 할 수 있는 피이드 백 구조를 탐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2개의 강화루프와 2개의 균형루프를 발견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교육 ODA사업이 촉진될 수 있는 정책지??대를 탐색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강화루프는 취학률 루프(R1), 교사의 역량루프(R2)이며, 균형루프는 수원국 국가발전과 원조정책 부합성 루프(B1) 및 수원국 국가발전과 교육ODA성과 루프(B2)이다. 이러한 루프들을 통하여 ODA사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정책지렛대의 발견에 대한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crucial factors underlying education-related ODA projects which have been conducted by the Korean government, based on the systems thinking approach, to derive reinforcing causal loops and balancing causal loops within a causal diagram explaining ODA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to put forward policy suggestions beneficial to policy makers and practitioners engaged in ODA project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paper could be of great benefit to ODA providers and ODA recipients as well in terms of alleviating poverty and developing economy in less developed countri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found that two reinforcing loops and two balancing loop have been discovered, and we can find out the possibility of exploring policy areas that can promote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al ODA projects. The reinforcing loops are the school attendance rate loop(R1), and the teacher competency loop(R2). The balacing loops are the national development and aid policy complementary loop(B1) of the recipient country and the national development and education ODA performance loop(B2) of the recipient country. These loops are intend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iscovery of policy leverages that can effectively manage ODA projects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논의와 연구문제
3. 조사설계
4. 교육 ODA 인과지도와 피이드 백 구조탐색
5. 시사점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