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3936.jpg
학술저널

문학교육과 생명공동체의 공감적 담론

이창래의 『만조의 바다 위에서』를 중심으로

  • 42

문학은 심층적인 공감의 영역에 관여한다는 점에서 사회변화를 위한 교육적 역량을 지닌다. 사회적으로 공감하는 존재, 이야기하는 존재로서 독자들이 형성하는 문학적 감수성은 생명공동체 의식을 확장하고 생명계 공존의 의미와 가치를 구현하는데 기여한다. 특히 최근 생명계는 인류 미래의 지속가능성의 쟁점에서, 환경문제에 대한 경고, 평등한 생명권, 생명계 시민의식과 같은 사회치유적 커뮤니케이션을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은 문학을 통한 미래지향적 생명담론을 모색하는 실천적 독서의 소재로서 영문학 가운데서도 한국 청소년들의 공감도가 높은 한국계 미국문학 작가 이창래(Chang-rae Lee)의 생명서사 『만조의 바다 위에서』(On Such a Full Sea, 2014)를 분석한다. 문학작품의 공감력을 통해 생명정치의 쟁점을 통찰하고, 생명공동체 의식과 연계된 미래지향적 생명담론을 탐색하는 생명계 시민교육 교과과정을 구성해나감으로써 문학교육의 사회적 독해력을 확장하고자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pedagogical exploration of empathetic life narratives and possibilities of literature-education program to promote social healing communication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human future. The ongoing globalized society involves a growing need for educational strategies to foster life awareness as ‘Homo Socioempathicus’ and ‘Homo Narrans.’ In designing core curriculum of the empathetic discourse of literature and community of life, this paper focuses on Korean American writer, Chang-rae Lee’s On Such a Full Sea as a text of biopolitics for raising issues of the imminent dystopian world and the urgent need for a democratic awareness of right to life. The empathetic readings of literary works for community of life ultimately leads to extending young people s minds for the communal respect of life and to envisioning empathetic perspectives as citizens of the egalitarian life circle, in the ongoing globalized society.

요약

Abstract

1. 서론

2. 문학교육과 실천적 공감

3. 생명계 시민교육과 사회치유

4.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