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교육의 사교육비 절감과 공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교육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2011년부터 미술중점학교 제도를 실행, 현재까지 전국적으로 운영의 규모를 확대해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미술중점학교 제도의 첫 시행 이후 수년이 지난 현시점에서 미술중점학교의 운영 실태를 점검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 미술중점학교를 비롯한 학교예술교육 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지역 3곳의 미술중점고등학교 재학생 210명에 대한 설문조사와 Y고등학교 재학생 5명 및 교·강사 3명의 인터뷰, 정규·방과 후 수업 관찰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술중점학교의 교육 과정과 교사의 전문성, 교사와의 친밀도는 학교 및 학생들에게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홍보에 대한 지원 및 시스템의 부재, 교사의 수업 외 업무 부담, 낮은 학교만족도, 대입에 치중된 진로 교육 등은 현 미술중점학교 운영의 한계점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른 개선방안은 미술중점학교의 전문성 확보, 지역·환경 적 특성의 활용, 제도·정책적 차원의 개선으로 도출되었다. 교사의 업무부담 완화와 다양한 진로교육 개발을 통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경기 지역의 예술가 및 박물관·미술관 연계 프로그램 개발과 일반 교과 및 다른 예술 전공과의 융·복합적 교육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학생모집 및 원활한 운영을 위해 입학 전형 변경과 홍보 지원, 포털 구축, 예산편성의 자율화 등의 제도·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Art oriented schools were started with the aim of reducing private education costs and promoting public education and are gradually expanding their opera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peration and find ways to improve so as to develop the art education. To that end, a survey of 210 students at 3 art oriented high schools in Gyeonggi, an interview with 5 students·3 teachers at Y High School, observations of regular·after-school classes were put into effect.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curriculum,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and the intimacy with the teacher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other hand, The limits are a lack of public relations support·system, the teacher s burden of extra work, low school satisfaction, career path education focusing on college entrance. The improvement plan is to secure expertise, utilize regi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mprove institution·policy.
I. 서론
Ⅱ. 미술중점학교의 이해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