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9939.jpg
KCI등재 학술저널

유구석부 재검토

A Review on The Korean Grooved Adze

  • 69

유구석부는 크게 ‘장방형 또는 梯形의 부신횡단면 - 斜刃 -梯形溝’ ‘말각삼각형 또는 터널형의 부신횡단면 - 직인 - 弧形溝’를 특색으로 하는 두 형식으로 구분되며 약간의 변형과 아종이 나타나고 있다. 전자는 소위 송국리형 문화, 후자는 점토대토기 문화에서 사용되었으며, 전자에서 후자가 형식변화 된 것으로 이해되어왔다. 그러나 양 문화의 출현배경, 확산범위, 전파의 向方과 이주의 속도, 유적의 지리적 위치와 취락의 지형적 입지, 단일취락내 주거지의 숫자와 개별 주거지의 크기 등을 비교할 때, 두 문화는 사회성격과 생계경제방식이 분명히 다른 것으로 판명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 문화적 토양을 고려할 때, 유구석부가 l식에서 2식으로 형식변화되었다고 피상적이고 단순하게 이해하는 것보다는 각 형식이 소속한 문화의 독자적인 필요에 의하여 발생하였다고 이해하는 독자발생의 시각이 두 형식의 출현과 상호관계에 대한 타당한 설명을 제공한다. 필자는 이러한 유구석부 1, 2식의 출현배경과 형식의 독자성을 고려하여 각각 제구석부와 호구석부로 명명하였다. 유구석부의 용도에 대하여는 지금까지 제구석부와 호구석부 모두 목공전용구로 알려져 왔으나 소속 문화의 사회성격과 생계경제방식 및 마제석기 조합상을 비교할 때, 제구석부는 목공전용구로 사용되었으나, 호구석부는 그 외에 굴지구와 무기 등의 기능을 포함한 多目的 打擊道具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제구석부는 지금까지 밝혀진 송국리형 문화의 정착농경문화의 생활방식이 필요로 하는 전형적인 목공전용구로 사용된 것이 분명해 보이지만, 호구석부는 앞으로 그것이 속한 점토대토기 문화의 사회성격과 생계경제방식이 밝혀져 감에 따라서 그 용도가 더욱 구체적으로 판명될 것으로 판단된다.

In terms of Typology, Korean Grooved Adzes are mainly grouped into two major types with some variations. Type 1 is characterized by such basic attributes as slant edge: trapezoidal groove: and rectangular or trapezoidal cross-section of a body. Whereas, Type 2 is characterized by such basic attributes as vertical edge: semi-circular groove: and triangular or tunnel-shaped cross-section of a body. Type 1 is believed to have been made and used in so-called Songguk-ni Culture (송국리 문화), and Type 2 in Jumtodae Pottery (Ring-Rim Pottery) Culture (점토대토기 문화)respectively. However, recent data reveals distinction as well as disconnection between two cultures in regard with origination, diffusionary direction and geographical boundary, speed in progressive movement, site s geographical location, residence s geomorphological position, size of a settlement and individual house and so on. All these conclusively show basic difference in nature and structure of the socio-economic system of both cultures. Considering such totalistic socio-culturai difference between two cultures, simplistic conclusion that Type 1 was transformed into Type 2 merely based on both type s superfici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cannot be accepted as a complete answer any more. Rather, the answer must be sought from the viewpoint that both types had been made out of their society s necessity for their specific function. Therefore, in reflection with both cultures distinction in totalistic way of life, both Type 1 and 2 are viewed as different individual tools, and must be separately named as the trapezoidal-grooved adze and semi-circular grooved adze respectively. Both adzes were believed to have been used for only various wood -shaping purposes. However, as abovementioned, tracing their function in their indigenous social as well as economic-subsistential system, a trapezoidal-grooved adze must have been used solely for various wood-shaping purposes, but a semi-circular grooved adze as various multiple purposes including such functions as fighting and digging and other various striking purposes. And the detail of such various multiple usage of the semi-circular grooved adze is expected to be revealed more clearly as the nature and structure of the Jumtodae Pottery (Ring-Ram Pottery) Culture are going to be expounded more as archaeological findings increase.

〈요약〉

Ⅰ. 머리말

Ⅱ. 발생, 용도, 형식분류에 대한 기존해석

Ⅲ. 소속문화의 특색 비교

Ⅳ. 발생 및 형식문제의 재검토

Ⅴ. 용도의 재검토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