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경주에서 출토된 유단식기와를 소개하였다. 그 다음 평기와제작기법과 각 유적의 공반유물인 연화문수막새, 미구기와, 펑기와를 고려하여 편년하였다. 백제ㆍ고구려암막새의 예를 소개하고 지금까지의 연구성과에 의한 편년을 참고하였다. 그 다음 경주에서 출토된 유단식기와를 백제ㆍ고구려암막새와 비교하여 그 성격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경주에서 유단식기와가 출토된 곳은 육통리와요지, 다경와요지, 황룡사지, 하구리 등이다. 이들 유적에서 출토된 유단식기와는 7세기말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경주 출토 유단식암막새를 고구려 장군총 출토의 지두문암막새, 백제 군수리 출토의 지두문암막새, 백제 구아리 출토의 유단식암막새와 비교한 결과 암막새의 문양면에서 확인되는 지두문, 횡침선, L字形 段이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삼국시대 암막새의 편년 서열을 상정하여 보았다. 고구려 지두문암막새(장군총 출토 지두문암막새) → 백제 지두문암막새(군수리 출토 지두문암막새) → 백제 유단식암막새(구아리 출토 유단식암막새) → 경주 유탄식기와.
This paper introduces the reverse L shaped roof-tiles discovered in Kyongju and tries to date them on the basis of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roof-tiles and associated various kinds of roof-tiles. Furthermore,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verse L shaped roof-tiles of Silla compared with those of Baekje and Goguryo. Up until today, the discovery of the reverse L shaped roof-tiles in Kyongju area has been reported at roof-tile kilns of Yuktong-li, Dagyung, and Haguri, and Hwangyong Buddhist Temple. I estimate the chronology of the female tile-ends recovered at these archaeological sites as before the end of 7th century A.D. considering previous studies and associated artifacts. Compared similar female tile-ends discovered at Janggun Tomb in Goguryo, and the ruined Buddhist temple at Gunsuri and Gooari in Baekje with those recovered in Kyongju, they a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in terms of the design motives of finger-print, horizontal line in the middle of roof-tiles, and reverse L shaped end part. Taking into account all these design attributes. I estimate the relative chronological order of the female tile-ends recovered at three different kingdoms as follows: 1) female tile-ends decorated with finger-prints (tile-ends recovered at Janggun Tomb) in Gogwyo, 2) female tile-ends decorated with finger-prints (tile-ends recovered at Gunsuri) in Baekje, 3) reverse L shaped female tile-ends (tile-ends recovered at Gooari) in Baekje, and 4) reverse L shaped roof-tiles in Kyongu.
〈요약〉
Ⅰ. 서론
Ⅱ. 자료 소개
Ⅲ. 유물 편년
Ⅳ. 유단식기와의 성격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