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046.jpg
KCI등재 학술저널

자연화 된 불교, 행복, 행화주의

Buddhism Naturalized, Happiness, and Enactionism

  • 73

이 글은 플래내건(Flanagan)이 자신의 저서 󰡔보살의 뇌󰡕(2011)에서 신경물리주의와 주관적 실재론을 기반으로 제시한 행복학과 자연화된 불교의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논의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먼저 2장은 플래내건의 신경철학을 그것과 경쟁 관계에 있는 환원론적 물리주의와 신경현상학과 관련하여 논의한다. 3장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유다이모니아 개념의 발생론적 근원을 논의하고 이어서 플래내건이 제시한 불교적 유다이모니아와 불교적 행복의 내용과 그 양자 간의 관계를 검토한다. 4장은 플래내건이 제시한 자연화된 불교를 검토한다. 플래내건은 초자연적 실재와 개념을 포함하지 않은 자연화된 불교의 중심 내용으로서 사성제, 삼독, 삼학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가 제시한 자연화된 불교의 내용 중 문제 가 있는 부분이 지적되고 자연화의 필요성과 효용성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5장은 플래내건의 신경철학이 안고 있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행화주의를 논의하고 그 두 가지 이론의 차이점과 더불어 신경현상학에 대한 플래내건의 이해 중 문제가 있는 부분을 지적한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amine critically the validity of eudaimonics and naturalized Buddhism based on neurophysicalism and subjective realism developed by O. Flanagan. The discussion proceeds in the following order. In chapter 2, I discuss the main contents of Flanagan’s neurophilosophy in relation to reductive physicalism and neurophenomenology, which are in competition with it. In chapter 3, I deal with the origins of Aristotle s concept of eudaimonia, and then examine Buddhist happiness and Buddhist eudaimonia suggested by Flanagan and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chapter 4, I examine the naturalized Buddhism. Flanagan suggests Four Noble Truths, Three Roots, and Three Learning as the central tenets of naturalized Buddhism which does not include supernatural realities and concepts. I point out the problematic part of his naturalization and examine the significance of naturalizing Buddhism. Finally, in chapter 5, I discuss enactionism and neurophenomenology as alternative theories to overcome the limit of Flanagan’s neurophilosophy and point ou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ories and Flanagan’s misunderstanding of neurophenomenology.

I. 들어가기

II. 신경철학

III. 행복학

IV. 불교의 자연화

V. 행화주의

Ⅵ. 맺는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