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학술대회자료
키워드
초록
등록된 초록 정보가 없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한국의 수중발굴현황
Ⅲ. 발굴유적별 해양환경
Ⅳ. 유적별 발굴방법
Ⅴ. 맺음말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53)
-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한 식생활 복원
- 춘천 천전리유적의 청동기시대 경작유구
- 신안선 보존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중세 기와 생산에 대한 조사연구성과와 과제
- 선사시대 수리시설의 양상과 변화
- 토양을 활용한 고대 농경 복원
- 창녕 교동7호분의 조사방법과 축조기술
- 경작유구를 통해 본 경지이용방식의 변천 연구
- 중세 철·철기 생산의 고고학적 연구현황과 과제
- 고려시대 수공업사(手工業史)의 연구성과와 과제
- 고DNA 연구의 현황과 미래
- 인골 분석을 통한 장례 방식의 검토
- 경주 금장리 신라시대 대규모 밭 경작 유적
- ‘농구’와 ‘경지이용방식’에 대한 토론
- 용인 지역 삼국(신라)~통일신라시대 철제 우경구와 농경관련 유적
- 백제 철볏, 그 고고학적 위상
- 부여지역 백제 주구부 굴립주건물지
- 농업의 고고학에 대한 토론
- 부여지역 백제 사비기 기와건물지의 건축기법 특성
- 한반도 선사·고대 동물(動物) 사육(飼育)의 역사와 그 의미
- 역학적 스트레스 반영 지표를 통한 행위수준의 복원
- 「농기구와 농경」에 대한 토론
- 김제 벽골제(사적 제111호) 중심거 학술발굴조사
- 부여지역 백제 굴립주건물지
- 한국 수중발굴현황 및 매장환경에 따른 발굴방법
- 인골의 신장 추정을 통한 과거 사회의 복지수준 연구
- 상주 공검지 발굴조사 성과
- 영암 자라봉고분의 조사방법과 축조기술
- 전북지역의 원삼국시대 작물조성
- 고기생충학의 고고학적 적용
- 한국 농업기술의 발전 과정과 연구 성과
- 한국 중세수공업 관계 고고학의 연구현황과 과제
- 식물자료를 이용한 농업연구
- 송국리유적 식물유체 분석 예보
- 영암 옥야리 방대형고분의 조사방법과 축조기술
- 부여지역 백제 수혈식주거지
-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한 제주 금성리 출토 인골의 식생활 연구
- 진주 평거동유적 출토 식물유체
- 삼국시대 고총고분의 봉분 조사방법과 과제
- 농기구와 농경
- 고지형분석과 고고학에서의 활용
- 고려시대 자기생산가마에 관한 고고학적 검토
- 마도해역에서 발굴된 고선박의 구조와 성격
- 고려 침몰선 출수 도기호의 양상
- 강릉 강문동 저습지 유적 출토 돼지
- 토기 압흔을 통해 본 식물이용 연구
- 「식물자료를 이용한 농업연구」에 대한 토론
- 강원 고성 문암리유적 신석기시대 밭
- 부산 연산동 M3호분의 조사방법과 축조기술
- 「토양을 활용한 고대 농경 복원」에 대한 토론
- 부여지역 백제 벽주(≒대벽)건물지
- 한국 닻돌의 쓰임새 연구
- 한국 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