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한국 설과 추석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en’s Experience on the Seol and Chuseok

  • 121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 설과 추석 경험을 바탕으로 이들이 설과 추석이라는 가족집단의 행사 안에서 어떠한 문화충돌 혹은 문화적 공감을 경험하게 되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이 처해 있는 구체적인 상황에서의 실제적 이야기로 결혼이주여성들의 원활한 이주생활을 위한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하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본 연구는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설과 추석 경험을 탐색하기 위하여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자료수집을 위해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은 2017년 1월부터 4월까지 7명의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각 사례 별로 1-2회씩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은 한국 전통문화를 접하면서 동시에 문화충돌과 문화적 공감을 모두 경험하고 있다. 이들은 한국 명절의 대표음식이나 간소한 차례 풍습 등과 같은 전통명절의 형식적인 요소들에 대한 호감으로 문화적 공감을 하고 있다. 반면에 소통의 단절, 명절자리에서 발생한 갈등 등은 문화충돌 경험의 주요 원인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ltural clash and Cultural empathy of Korean culture in the family events of Chuseok and Seol, through the experienc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from Vietnam.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marriage migrant women s immigrant life through practical stories of marriage migrant women in specific situation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nd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in - depth interview. In -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en residing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interview period was from January to April 2017, and the interview was conducted in Vietnamese one to two times for each case. According to the result od the research, Vietnamese immigrant women are experiencing both cultural conflicts and cultural empathy while encounter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ey are culturally sympathetic to the formal elements of traditional festivals, such as the representative food of Korean festivals and simple customs. On the other hand, the disconnection of communication and the conflicts occurring at the holiday place were found to be the main causes of cultural confli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