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144.jpg
KCI등재 학술저널

점착성에 따른 부유 미립자의 플럭밀도에 대한 물리적 특성

Physical Characteristics of Floc Density of Suspended Fine Particles in accordance with the Cohesiveness

  • 4

본 논문은 점착성 변화에 따른 부유 미립자의 플럭밀도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플럭밀도에 관한 분석은 바닥전단응력변화와 이온첨가 조건하에 자유수면이 존재하는 소형 환형수조에서 수행되었다. 미립자 실리카는 퇴적물에 영향을 미치는 점토의 주요 광물 성분이기 때문에 이를 실험재료로써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서 플럭밀도는 바닥전단응력, 염분과 pH값의 증가에 의존함을 나타낸다. 플럭밀도는 정지수면상태에서 염분과 플럭입자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반면에 바닥전단응력이 증가하면 정반대로 나타난다. 플럭밀도는 바닥전단응력의 범위가 0.0086 ∼ 0.0132 N/m2이면 pH4.2에서 보다 pH6.8에서 증가하였다.

This paper was examine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floc density of suspended fine particles with varying cohesiveness. The analysis of floc density was performed in a small annular flume with a free water surface under different bed shear stresses and ion addition. Fine-grained silica was used as model material, as it is the main mineral components of clay that affects sedimentation. It was concluded that floc density depended on increasing the bed shear stress, the salinity and pH value. Floc dens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salinity in still water and floc size, whereas the opposite was true when increasing the bed shear stress. Also, it increased at pH6.8 more than at pH4.2 when increasing the bed shear stress in the range from 0.0086 to 0.0132 N/m2.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 과

4.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