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새로운 시민권과 기본소득의 가능성

Possibility of Basic Income and Neo-Citizenship

  • 247

본 연구는 기본소득 관점에서 노동-복지와 시민의 권리에 관한 구상들이 소득보장과 관련하여 어떤 차원에서 논의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본소득과 시민권을 둘러싼 담론과 비판을 분석적으로 고찰하고 무조건 받을 권리와 의무 이행과 같은 호혜적 관계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기본소득의 가능성과 실현방향을 전망한다. 기본소득은 삶의 전 과정을 통한 노동에 대하여 권리로서 지급하는 보상적 급여이다. 모든 개인에게 평등하게 소득을 얻을 자격은 노동의 변용을 바탕으로 호혜성원리의 확장을 통해 승인될 수 있다. 여기서 호혜성은 균형적 호혜성 뿐만 아니라 일반적 호혜성을 포함한다. 이를 근거로 기본소득의 가능성을 논의하는 담론은 우파 관점에서 분배하는 최소복지국가라 할 수 있다. 또한 좌파 관점에서는 탈노동-복지 패러다임의 구축이다. 제도적 실현 방향은 배제된 이급시민까지 포함하는 통합적 시민권에 근거한 부분적 기본소득이다. 궁극적으로는 모든 시민까지 포섭하는 트랜스내셔널한 통합으로서의 완전기본소득이다. 제도기술적 전망은 최저생계비 수준에 맞춰 특정 인구계층에게 지급하는 부분기본소득이다. 실현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높은 조세부담과 노동기피에 대한 혐오감, 노동계층과 경영자 집단이다. 기본소득의 매력적 효과를 고려하면 단편적 형태로 변용된다고 해도 과거보다 한층 높아진 진보적 수준이 될 것이다.

In this study, work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basic income - I think of the concept of civil rights and welfare, about what is being discussed in any level associated with income security. This section describes the relationship mutually beneficial, such as the implementation of the rights and obligations to receive unconditionally with consideration analytically and criticism discourse over citizenship and basic income, for example. As a result, I have a view of the direction and implementation possibilities of basic income. Basic income is a compensatory payment to be paid as the right to work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life. Entitled to the income equally to all individuals may be approved through extension of the reciprocity principle based on the transformation of labor. As well as balance basis reciprocity, reciprocity includes a general reciprocity here. Discourse on this basis,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Basic Income may take the minimum welfare state for dispensing from the standpoint of right. In addition, in terms of left-wing, de-labor-it is the construction of the welfare paradigm. Direction of the system implementation is a revenue partial basic based on the integrated civil rights, including up to second-class citizens were eliminated. In the end, is a full basic income as a transnational integration to inclusion to all citizens. System technical outlook is a partial basic income to meet the minimum cost of living level, and be paid to population specific layer. Factors that affect the feasibility is a management group disgust for work avoidance and high tax burden, and the working class. In consideration of the effect of attractive basic income, even if the transformation in the form of fragmentary, is going to be level progressive that even higher than in the past.

Ⅰ. 서론

Ⅱ. 새로운 시민권과 기본소득

Ⅲ. 기본소득과 호혜성

Ⅳ. 가능성을 둘러싼 담론과 제도적 실현방향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