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250.jpg
KCI등재 학술저널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문항묶음의 활용

Item Parceling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pproach and Content-based Approach

  • 1,437

구조방정식모형에서 모형의 적합도와 추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측정변수(관찰변수)를 하나의 문항 혹은 여러 문항들의 평균 또는 총점으로 구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항묶음에 대한 이론적 개관과 실증적 경험자료의 분석을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문항묶음은 추정의 정확도와 모형의 적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모형의 양호한 적합도를 보고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문항 묶음의 적합한 절차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항묶음에 대한 국내외 이론 및 실증 연구들을 개관하고 실증데이터를 활용하여 문항묶음 절차와 문항묶음의 효과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문항묶음과 여러 측정문항들 중 내용적으로 유사한 항목끼리 문항 묶음을 구성하는 내용기반 접근 전략에 따른 문항묶음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문항묶음의 사용은 안정적인 요인부하량과 모델 적합도를 양호하게 만들어주는 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문항묶음 사용 시 적합한 절차에 따르지 않는 경우 척도가 가지는 본래의 의미가 왜곡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때문에 문항묶음을 실시하기전 척도의 요인구조를 검증한 후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문항묶음 방식을 사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The observed variables are composed of a single item, mean score, or total score of multiple item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estimation in the use of structural model. This study tried to verity the effect of item parceling through analyzing empirical data as well as theoretical overview of item parceling. Item parceling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estimation and model fit. On the other hand, it has the risk of being misused as expedient to report the favorable goodness of f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roper procedure of using item parceling. This study reviewed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about item parceling and tried to explore the effect of item parceling and its procedure using empirical data. Also, a detailed comparison is made of the effect between item parceling according to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domain-representative parceling approach.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use of item parceling has a good influence on stable factor loading and model fit.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at the original meaning of the scale may be distorted if the parceling is not followed by the appropriate procedure. Thus the study is proposing tha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before to use the appropriate item parceling metho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