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stalt치료 이론에 의한 예술치료 관점에서의 뮤지컬 활용 연구
A Study on Using Musicals from the Perspectives of Art Therapy based on Gestalt Therapy Theory
- 한국음악교육학회
- 음악교육연구
- 음악교육연구 제47권 제3호
-
2018.0823 - 48 (26 pages)
-
DOI : 10.30775/KMES.47.3.02
- 386
본 연구의 목적은 게슈탈트 치료 이론(GestaltTherapy Theory)에 기초한 예술치료 관점에 입각하여,통합적 문화예술교육의 실현을 위한 뮤지컬 활용을 탐색하는 것이다.이를 위해 게슈탈트 예술치료의 접근방식이 되는 자각,환경접촉,자기접촉,대인관계접촉,종결 과정을 가져와 뮤지컬 교수내용을 이야기치료,노래치료,드라마치료로 재구성하기를 제안한다.이러한 관점은 심동적,정의적 행동양식의 변화뿐만 아니라,심리적 치료가 필요한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따라서 본 연구는 게슈탈트 치료 이론에 기초한 예술치료 과정을 뮤지컬에 적용하여 청소년 교육에서의 뮤지컬 활용의 당위성을 탐색하고,교수내용의 도구적 측면으로서의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이 연구는 청소년 교육에서의 뮤지컬 활용이 조화로운 교육과정의 실천이 될 뿐만 아니라,심리적 치료를 위한 교수내용의 도구로써 가치가 있음을 게슈탈트 치료 이론에 입각하여 제시한다는 시사점을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se of musicals to realizean integrated Culture and Ar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Art Therapy based on Gestalt Therapy Theory. To this end, I suggest that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using musicals should be reconstructed into story therapy, singing therapy and drama therapy by bringing the Gestalt approach of self-awareness, environmental contact, self-contact, interpersonal contact, and closing process for Gestalt Art Therapy. This viewpoint is expected to affect not only the change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atterns in education but also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adolescent education which requires psychological treatment. Thu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sing musicals in adolescent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instrumental aspects of the contents of education by applying the Art Therapy based on Gestalt Therapy Theor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use of musicals in adolescent education is not only a practice of harmonized curriculum but also a valuable tool of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psychological treatment, based on the Gestalt Therapy Theory.
Ⅰ.서론
Ⅱ.게슈탈트 치료 이론의 관점
1.게슈탈트 치료 이론과 게슈탈트 예술치료 2.예술치료 관점에서 뮤지컬 활용의 당위성
Ⅲ.게슈탈트 예술치료 관점에서의 뮤지컬 활용
1.이야기치료 2.노래치료 3.드라마치료
Ⅳ.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