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 전공 대학생들의 연습전략 분석
Strategies Used by College Applied Piano Majors during the Practice and Learning of Piano Music
- 배수영(Bae,Su-Youn)
- 한국음악교육학회
- 음악교육연구
- 음악교육연구 제47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우수등재
- 2018.08
- 73 - 96 (24 pages)
이 연구는 피아노 전공 대학생들의 연습태도와 연습전략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경남 지역에 소재하는 3개의 대학에 재학 중인 1,2,3,4학년 피아노 전공 대학생들(n=123)이며,코스트카(Kostka,2002)의 연습태도 파악을 위한 설문지와 위군과 킬루니세르(UygunandKılınçer,2017)가 개발한 ‘악기연습 시 사용하는 학생들의 연습전략 척도’를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설문조사하였다.연구결과,첫째,학생들은 ‘음악성’과 ‘테크닉’을 연습에서 익혀야 하는 가장 중요한 기술로 간주한다.둘째,학생들은 연습전략 중 시연 전략(m=3.47)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다음으로 연계-조직 전략(m=3.42)과 이해 점검 전략(m=3.41)을 사용하였으며, 정교화 전략(m=2.87)울 가장 드물게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셋째,연습시간과 연습에 대한 인식에 따라 연습전략 사용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p<.05),레슨 받은 기간과 레슨계획의 유무에 따라서도 학생들의 연습전략 사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actice attitude and the strategies college applied piano major students use during the practice and learning of piano music using ‘Scale for Strategies Used during the Practice and Learning of Instrumental Music(Uygun and Kılınçer, 2017)’and the revised survey of Kostka(2002).The study group comprised of 123 college applied piano major students at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Gyeongnam area. Results are as follow: First, students regard musicality and technique as the most important skills to learn in practice. Second,students’levels of rehearsal strategies(m=3.47)were the highest and the levels of elaboration strategies(m=(2.87) were the lowest. Third, students’levels of using strategies in all fiv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practice duration and how they feel about practice. Furthermore,students’levels of using comprehension monitoring strateg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whether they follow a specific practice routine, and students’levels of using attention strategies and elaboration strategies showed sign if i 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lesson experience
Ⅰ.서론
Ⅱ.이론적 배경
Ⅲ.연구방법
Ⅳ.결과
Ⅴ.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