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타리카 진출을 위한 산업 및 통상 그리고 관련 정책에 관한 고찰
A Study on Industries, Trade and Related Policies for Entry into Costa Rica
- 유영식(Yeong-Sik Yoo) 윤준모(Jon-Mo Yoon)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8권 9호
- 2018.09
- 53 - 60 (8 pages)
코스타리카는 역내의 여러 중미 국가들 중에서 정치와 경제가 안정되어 있으며 교육 수준이 높고, 소득이 높은 편이다. 아울러 양자 혹은 다자간의 무역협정 체결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개방형의 대외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와 중미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여 향후 발효를 앞두고 있다. 더욱이 외국인투자유치 관리 노하우와 투자에 유리한 재정 시스템을 갖추었고, 서식 생물군이 다양하며 관광산업이 발달하였다. 아울러 청정국가로서 좋은 이미지를 갖추고 있으며 자유무역지대법을 제정하여 국가의 경쟁력 제고와 과학기술 연구 및 첨단제조업과 바이오 그리고 의약품 산업 발전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코스타리카 진출에 대한 우리나라 관련 기업들을 위한 유용한 제언을 제시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고, 우선적으로 코스타리카의 주요 산업과 통상 그리고 관련 정책에 관하여 자세히 고찰하였다. 아울러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분석하였고, 현지 시장 진출에 필요한 다양한 방안들을 도출하였다.
Costa Rica has a stable political, economic, educational, and income level among the Central American countries in the region. In addition, it maintains an open foreign policy that is continuously pursuing bilateral or multilateral trade agreements. In addition, Korea and the Central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have been concluded and are expected to come into effect in the future. Furthermore, it has a financial system favorable to foreign investment management know-how and investment, diversified habitat groups, and developed tourism industry. In addition, it has a good image as a clean country and has enacted the Free Trade Zone Act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nation, and to make scientific endeavors to research and develop advanced manufacturing, biotechnology and pharmaceutical industry. Therefore, this paper has been studied to suggest useful suggestions for the Korean companies to enter into Costa Rica, and firstly we reviewed the major industries, trade and related policies of Costa Rica in detail. In addition, we analyzed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market and derived various measures necessary for entering the local market.
1. 서론
2. 코스타리카의 산업과 통상 환경 및 정책
3. 코스타리카의 교역 활성화 및 진출에 관한 분석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