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성 리더십과 구성원 개발
긍정심리자본과 심리적 웰빙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김상민(Sang-Min Kim) 차민석(Min-Seok Cha)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8권 9호
- 2018.09
- 85 - 94 (10 pages)
이 연구는 진성 리더십(Authentic leadership)의 대외적인 신뢰와 기업윤리 회복의 차원과 더불어 조직 내적인 역할을 조명하고 있다. 특히 진성 리더십이 구성원의 심리, 지적, 정서적, 태도적 개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기존의 실증연구를 중심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실증연구들을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근거기반경영(Evidence-based management) 입장에서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행복, 조직 몰입에 미치는 효과들을 종합하고자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 메타분석 소프트웨어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진성 리더십의 조직효과성을 종합적 으로 판단하는 통계량을 도출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는 구글 스칼라, 학술연구정보서비스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는데, 진성 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웰빙, 조직몰입의 관계를 다룬 논문 다수를 선정한 후 메타분석 전용 프로그램인 CMA의 version 3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존의 실증연구를 종합하는 메타분석 결과 진성 리더십과 세 가지 종속변수 간 관계에서 효과크기는 긍정적(+)이며, 세 가지 구성원 개발 변수에서 일관성(+)이 있게 나타났다: 진성 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의 관계에서 평균효과 크기 0.549(95% CI: 0.429~0.668), 진성 리더십과 심리적 웰빙의 관계에서 평균효과 크기0.490(95% CI: 0.238~0.743), 진성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평균효과 크기 0.563(95% CI:0.469~0.658)로 정(+)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진성 리더십와 구성원 개발 변수들 간 효과크기가 0.50 이상의 수준인 것은 Cohen(1988)이 제시한 기준에 의하면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진성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의 효과크기가 다른 변수간 관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성 리더십을 통해 보다 헌신하는 조직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shed lights on the role of authentic leadership within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to the reovery of the trust and business ethics in the global business contex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assess the effectiveness of authentic leadership using meta-analysis techniques. We expect the impa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the development of follow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vidence-based management(EBM), we conduct meta analysis of authentic leadership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the systemic literature review. With the systemic literature reviews, for the recollection of previous empirical research studies, we selected a number of papers dealing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follower developmen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 are scholarly databases such as Google scalars and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like Comunity of Scholar, DB PIA, KISS, OJT). As a result of the meta analysis using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ver. 3.0, there is a positive consistency(+) of the effect sizes in all the variables: an average effect size of 0.549(95%CI: 0.429~0.668)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mean effect size of authentic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0.490(95%CI: 0.238~0.743), the mean effect size of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0.563(95%CI: 0.469~0.658),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 of the authentic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relatively larger, as the effect size of all variables is over 0.50, which is a significant effect of the criteria proposed by Cohen(1988).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implies that follower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uld be enhanced by the development and exertions of the authentic leadership
1. 서론
2. 진성 리더십과 팔로어 개발요인
3.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 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