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259.jpg
학술저널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창의 연구동향 분석

An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s and Issues of Creativity

  • 231

본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국내 창의 관련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난 15년(2003년~2017년)동안 연구명에 ‘창의’ 단어를 사용한 학술지 805편의 저자키워드 2,350개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NetMiner 4.0을 활용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창의연구는 지난 15년 동안 꾸준히 수행되어 왔으며 주로 교육학과 문화예술학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졌다. 둘째, 검색어 빈도분석 결과, ‘창의성’, ‘창의력’, ‘교육과정’, ‘문제해결’, ‘영재’, ‘역량’, ‘글쓰기’, ‘융합’, ‘사고력’ 등이 창의연구의 주요 키워드로 사용되었다. 셋째, 중심성 분석결과, ‘창의성과 영재’, ‘창의와 문화예술’, ‘창의 관련 교육정책’, ‘창의력개발을 위한 교육내용 및 방법’이 주된 연구분야를 형성하고 있었다. 넷째, 정부시기별 검색어 분석결과, 시기에 상관없이 꾸준히 관심을 받아온 연구주제가 있는 반면, 시기별 핵심 정책과 연결되어 부각된 주제어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갈 창의융합 인재 육성을 위한 창의연구의 과제와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2003 to 2017 revised ‘creativity research’ through text network analysis using NetMiner4.0 program.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keyword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of 2,350 authors keyword from 805 journa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creativity has been studied steadily over the past 15 years in Department of Educ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creativity’, ‘curriculum’, ‘problem solving’, ‘gifted’, ‘competency’, ‘writing’, ‘convergence’, ‘thinking power’ are central concepts through the ‘creativity research’.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creativity and giftedness’, ‘creative and cultural arts’, ‘related education policy and its application’, ‘content and method for creativity development’ were the main research field. Fourth, as a result of keyword analysis by government period, specific keywords that are connected with policies.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the future directions of creativity research.

1. 서론

2. 창의연구 선행분석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