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자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성역할 갈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tisfaction in major, Gender role conflicts on Male Nursing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채민정(Min-Jeong Chae) 정효주(Hyo-Ju Jung)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8권 9호
- 2018.09
- 395 - 404 (10 pages)
본 연구는 남자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성역할 갈등,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G시와 J도에 위치한 간호대학에 재학중인 남자 간호대학생 527명을 대상으로, 2017년 4월부터 5월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Pearson corrle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를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자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성역할 갈등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준비 행동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와 성역할갈등은 남자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모형의 설명력은 약 16%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남자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 행동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학교와 학과에서는 학생들의 수준에 맞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육커리큘럼 개발노력과 지원이 필요하겠으며, 성역할 갈등에 대한 개별적 의식개선 노력과 더불어 학교차원에서도 간호의 양성적 측면을 강조하는 교육과정이 개선 및 비교과 활동을 개발하여 남자 간호대학생으로 하여금 적극 참여를 권장해야 겠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nursing satisfaction in major, and gender role confli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mong male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527 male students in nursing college.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le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satisfaction in major, gender role conflict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3.91, 3.04, and 2.40 respectivel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atisfaction in major, gender role conflict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se variables together explained 16%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male nursing students. Conclusion: In order to connect the satisfaction in major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school and the department will need a lot of efforts and support for developing educational curriculum that can meet the students level and interst, and practical training for clinical practice.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