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259.jpg
학술저널

4차 산업혁명시대의 진로교육 방향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career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476

다보스 포럼은 2020년까지 500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 예측하고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팀은 2033년까지 현 직업의 47%가 사라진다고 단언한다. 데이터로 뒤덮인 과학기술시대를 살아가야할 미래세대를 위해 “어떠한 진로교육을 해야 하는가?”는 현 세대 교육자들에게 중요한 화두이다. 왜냐하면 이는 미래세대가 아직 존재하지 않는 직업에 종사하게 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4차산업혁명 이전의 산업혁명에서는 주로 생산직이나 일부 서비스업종 일자리에서 변화가 있었다면 4차산업혁명 이후에는 사무직과 전문직에서도 일자리를 위협받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미래사회에서는 전문직의 역량도 대부분 AI로 대체될 확률이 높고 이러한 직업 감소가 서서히 이뤄지는 게 아니가 급작스럽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지금의 학생 중심의 진로교육과 더불어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진로교육 또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 진로교육의 의미를 고찰하고 패러다임 변화의 방향 제시한다.

Davos Porom predicts that by 2020, more than 5 million jobs will disappear, and the Oxford University research team asserts that by 2033, 47% of the current profession has disappeared. What kind of career education should be done for future generations to survive in the era of data-driven science and technology? Is an important topic for educators of today s generation. This is because future generations are more likely to have jobs that do not yet exist. In the pre-4 industrial revolution, jobs were mostly changed in manufacturing or in the service sector, but aft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ffice and professional jobs are more likely to be threatened. In future societies, most of the profession s abilities are likely to be replaced by AI,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such a decrease in professions will not be achieved gradually. Therefore, not only the current student-centered course education but also adult path education is necessary.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route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resents the direction of paradigm shift.

1. 서론

2. 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

3. 진로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