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259.jpg
학술저널

분석방법 이슈

회귀분석시 인구통계적 특성의 통제방법

  • 54

본 연구는 최근까지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 중 실증논문에 대한 심사과정에서 인구통계적 특성의 통제방법에 대한 심사자들 간의 논쟁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구통계적 특성이 명목변수이거나 서열변수이기 때문에 더미변수화하여야 한다는 주장과 비록 명목변수이거나 서열변수이지만 구체적인 비교가 아닌 응답자 간의 일반화를 위한 목적인 경우에는 그대로 투입해도 무방하다는 논쟁은 지금까지도 많은 연구자들과 학위취득을 위한 학생들에게 혼란스러운 이슈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학위논문 및 학술지 게재논문 14편을 연구자의 동의를 얻어 인구통계적 특성을 통제하지 않았을 때, 더미변수화하여 통제하였을 때, 명목변수를 그대로 투입하여 통제하였을 때의 비표준화계수와 표준화계수를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통계적 특성을 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성에 대한 차이를 정교화하기 위한 목적이 아닌 경우에는 명목변수를 그대로 투입하여 통제하여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결론내릴 수 있었다. 그러나 분석대상 논문 편수가 너무 작고 수리통계적 관점에서의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은 점에 대해서는 추후 보완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disputes about control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mong judges, in the examination of empirical theses among master s theses and treatises. In particular, one argument tha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nominal or ordinal variables, so they should be turned into dummy variables and the other one that although they are nominal or ordinal ones, they can be input as it is, only for generalization among responders, not for a specific comparison are chaotic issues so far for researchers and students with academic degrees.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acquir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rom 14 master s theses and publicized treatises by gaining researcher s approval, and compared standardized and non-standardized coefficients by using a paired t-test, when they were not controlled, when they were controlled by turning them into dummy variables and when they were controlled by inputting nominal ones as they are. The findings show that it is desirable to contro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even when they are controlled by inputting nominal ones as they are, not for articulating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However, it will be necessary to compensate too low number of theses and current approach that is not derived from the perspective of mathematical statistic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실증분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