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서지능이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치위생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 김선주(Sun-Ju Kim)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8권 9호
- 2018.09
- 873 - 881 (9 pages)
본 연구는 정서지능이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 연구이다. 2016년부터 8월 25일부터 9월 15일까지 편의추출 된 5개 대학 치위생(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정서지능 평균은 3.47±0.49점, 대학생활적응 점수는 3.02±0.32점, 스트레스 점수는 29.57±3.55점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 점수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스트레스 지수가 높았고, 3년제 학생이 대학생활적응 점수는 유의하게 높았다. 학년별로는 학년이 낮을수록 정서지능이 높고 스트레스 는 낮았으며, 학업성적과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정서지능과 대학생활적응 점수가 높고 스트레스 점수는 낮았다. 정서지능과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는 정서지능이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학에서는 과도한 스트레스와 불안으로 어려움을 호소하거나 대학생활에 부적응하는 학생들을 위해서 교육과정 전반에서 학생들의 정서지능을 함양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과정 개발과 프로그램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stress and college adaptation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analysis, t-test, one 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19.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emotis than male students, and 3-year colleg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adaptation scores. By grade, the lower the grade, the higher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lower the stress.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majors satisfaction, the higher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llege adjustment score and the lower the stress score.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llege adonal intelligence, stress, and adaptation scor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higher in female studentaptation but negative correlation with stres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gram that can help increase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apply such program to the college curricula.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