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259.jpg
학술저널

도시 경관의 특성에 적합한 경관 번역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Translated Word Correspondent with Characteristic of Urban View

  • 13

현재 경관에 대한 번역어로는 랜드스케이프(landscape)가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다. 그런데 랜드스케이프라는 단어는 지나치게 광범위한 측면이 있어 도시에 보이는 경관이 갖는 고유성을 담아내는 적절한 번역어인지는 확인이 필요하다. 도시 공간의 성격을 검토한 결과, 도시 경관은 도시 외부공간의 물적 건조환경(built environment)에서 비롯되며 인지의 대상이다. 즉 인공적인 사물들로 이루어진 도시 공간은 자연에서의 공간과는 다른 특성을 지니며 이는 도시 가로에서의 인지 작용을 통해 맥락과 특정한 이미지를 드러낸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도시 경관의 경우 도시의 물리적 공간이 갖는 공간적 특질로 인해 자연이나 도시가 아닌 지역과는 다른 양상을 갖게 된다. 결론적으로 도시 경관의 인지에 있어 중요한 것은 보는 행위 자체인데, 이 때 만들어지는 시각축이 도시 경관의 고유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도시 내부의 시선에서 가장 보편적인 도시 경관은 격자형 도로망 체계에서 흔히 보이는 terminating vista로 불리는 초점경관이며, 이를 반영하면 도시 경관에 대해서는 비스타라는 단어가 보다 적합한 번역어일 수 있다.

Currently korean term ‘Gyeong-gwan’ generally has translated word of ‘Landscape’. However, it has to be reviewed if the word is proper to reflect characteristic of certain view in an urban area because the word contains a lot of meanings. As the result, the city view is generated on the physically-built environment of urban space as well as is an object recognized. Urban space made from bunch of artifacts has different spatial features and structures with the nature, which gives semantics, context and images by cognitive process on the urban street. Therefore, a view of city is not like a view of nature or unurbanized area because of the uniqueness of urban space as a physical body. The seeing is consequently more relevant to the view of urban space than the objects to be seen and the visual axis by the seeing is essential element of urban view. Most general one among views inside a city is ‘terminating vistas’ which are constructed by the visual axis come from the grid-like road network of modern. Therefore, the term ‘vista’ would be a better alternative for translation of ‘Gyeong-gwan’ in order to embrace the quality of urban view.

1. 서론

2. 랜드스케이프의 의미

3. 도시 경관의 성격

4. 경관의 본질적 개념에 따른 용어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