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485.jpg
학술저널

감정코칭을 활용한 교사교육이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유아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 training using emotion coaching on the resilience of teachers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teacher and child

  • 359

본 연구의 목적은 감정코칭을 활용한 교사교육이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유아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2곳의 어린이집 교사 7명이다. 연구 도구는 교사의 회복탄력성을 Reibeach와 Shatt’e(2003)가 개발한 회복탄력성 지수 검사(Resilience Quotient Test:RQT)를 한국문화에 맞게 수정 보완한 김주환(2011)의 한국형 회복탄력성 지수 검사(KRQ-53)와 교사-유아 간 의사소통을 박지은(2012)이 개발한 검사도구를 교사-유아 간 의사소통에 맞게 재구성 한 교사-유아 간 의사소통 척도이다. 실험처치는 감정코칭 전문 강사가 5주 동안 총 15시간의 감정코칭 교사교육이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교사교육을 통해 수집된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유아 의사소통의 점수를 비모수 통계인 부호 순위 검증(Wilcoxon signed rank test)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감정코칭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유아에 대한 교사들의 감정의 변화에 대해 기록한 저널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감정코칭을 활용한 교사교육은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유아 간 의사소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를 위한 감정코칭을 활용한 교사교육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that teacher training using emotion coaching has on the resilience of teachers and their communication with children. Subjects were seven teachers at two daycare centers located in city J of Jeollabuk Province. The tools used were the Resilience Quotient Test developed by Reibeach and Shatt’e(2003) which was revised to fit the Korean culture by Juhwan Kim (2011) (KRQ-53) and the scale for measuring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 that was reconfigured from the test tools developed by Ji Eun Park (2012) for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 For the experiment, a total of 15 hours of emotion coaching teacher training was conducted by an expert lecturer in emotion coaching. For data analysis, the scores on the resilience of daycare center teachers collected through teacher training and the scores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eacher and child were analyzed by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In addition, to further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using emotion coaching, journals that recorded changes in the teachers’ emotions were analyzed. The findings show that teacher training using emotion coach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silience of teachers and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 This implies the potential for teacher training using emotion coaching.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