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485.jpg
학술저널

토론 중심의 영문학 수업에서 학생 성찰일기에 나타난 토론 효능감의 수준별 학습 효과 차이 분석

Analysis of Students’ Reflection Essays for Learning Effects According to Students’ Discussion Efficacy Levels in the Instruction of English Literature

  • 144

토론 수업은 학습자의 문제해결력, 창의력 등 다양한 사고력을 개발하는 데 효과가 있다. 그런데 토론 수업은 학습자의 특성에 의해 효과 차이가 나타난다. 특히 학습자의 토론 효능감과 같이 토론에 임하는 학습자 개인의 학습 유능감 및 집단 내 사회성에 기인한 특성으로 인해 토론의 학습 효과에 있어 차이가 나타나기 마련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로 교수자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기존의 영문학 수업방법과는 다른 그룹 및 전체 토론식 수업방법을 제안하고 이 수업방법이 학습자들의 토론 효능감 수준별로 토론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총 45명의 대학생이 한 학기동안 구조화된 그룹 및 전체 토론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학기 초에 토론 효능감 진단지에 응답하였고 이것으로 그들의 토론 효능감 수준을 파악하였다. 학기 말에는 토론 수업의 효과와 관련된 질문에 대해 성찰문을 작성하였다. 성찰문의 내용을 관련 전문가 3인이 마련한 준거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토론효능감의 수준별 토론에 대한 효과 및 개인 학습의 도움 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토론 효능감 수준별로 토론 효과 및 도움의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그룹 및 전체 토론식 영문학수업방법은 토론 효능감의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이었고 개인 학습에 도움을 줬음을 알 수 있다.

It was been studied that discussion classes are effective for developing various thinking skills such a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of learners. However, in many cases the effectiveness of the discussion class depends on the learners’ abilities. Particularly, learning effectiveness of discussion heavily replies on learners learning competence and sociality in group, namely their discussion efficacy.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an instructional method for discussion classes different from conventional approaches and analyze how the learners’ discussion efficacy levels affect the outcomes of the group discussion. A total of 45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a structured group and class discussions for one semester. Their discussion efficiency levels were measured with a diagnosis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t the end of the semester, each learner wrote a reflection essays on the given question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and class discussion. The three related experts analyzed how the learners’ discussion efficacy level affected both the effects of discussion and their individual learning process.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cussion effectiveness depending on the learners’ discussion efficacy levels. It can be referred that regardless of the level of discussion efficacy, all students were benefited from group and class discussion which resulted in helping their individual learning process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로딩중